•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크리스티안 볼탕스키(Christian Boltanski)의 사진 기반 작업에 나타난 홀로코스트의 기억 (Memory of the Holocaust in Christian Boltanski's Photo-based Ar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7.06
25P 미리보기
크리스티안 볼탕스키(Christian Boltanski)의 사진 기반 작업에 나타난 홀로코스트의 기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48호 / 177 ~ 201페이지
    · 저자명 : 윤희경

    초록

    본 논문은 홀로코스트를 다룬 볼탕스키의 사진기반 작업을 연구하였다. 볼탕스키는 이 작업들 속에서 홀로코스트를 지나간 일회적인 역사적 사건으로서가 아니라 언제든 반복될 수 있는 인류 보편의 문제로 다루었다. <D가족의 사진 앨범>과 <상수시>는 부르디외가 지적하는 바, 사적 가족 사진의 의례화된 실행을 보여주는데 나치 치하의 암울한 시대 상황을 무시하고 주조된 아름다운 가상의 이미지는 집단적 망각의 이미지로서 감상자로 하여금 ‘악의 평범성’의 문제를 숙고하게 하였다.
    볼탕스키는 바르트와 유사하게 사진의 속성을 죽음, 혹은 물화(objectivation)라고 보았는데 재촬영을 통한 사진의 변형을 통해 이러한 속성을 전면에 부각시키며 사진 속 아름다운 가상을 해체하여 죽음의 진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재촬영된 사진을 이용한 여러 설치 작업에서는 사진의 수열적이고 기하학적인 배치와 산업생산품인 사무실용 전등의 사용을 통해, 그리고 사용된 사진의 자의적인 교환 가능성을 통해 당시 파시즘 사회에서 이루어진 인간에 대한 목록화와 수치화, 그리고 산업화된 대량학살을 통한 인간의 물화를 표현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성유물함을 연상시키는 양철 상자의 사용과 제단화와 유사한 중심축을 강조하는 구성, 그리고 은은하게 사진 주변을 감싸는 전등 불빛의 사용을 통하여 종교적인 신성함과 초월성을 불러일으키며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를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볼탕스키는 위의 작업들을 통해 인간의 잠재적인 악의 문제와 계몽의 비극적 귀결로서의 인간의 물화의 문제를 제기하며 쇼아라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깊은 통찰의 계기를 제공하였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of Christian Boltanski's photo-based works addressing the Holocaust. In these works, Boltanski treats the Holocaust not as a one-off historical event but as a universal problem of humanity that could be repeated at any time. Album de la famille D. and Sans soucis show the ritualization of private family photos, as mentioned by Bourdieu. The beautiful imagined images, forged while ignoring the dark circumstances of Nazi rule, show a collective oblivion that prompt the viewer to contemplate the normality of evil.
    Boltanski, like Barthes, regarded the nature of photos as death or objectification. By changing these photos through reworking, he brought this nature to the fore while attempting to reveal the truth of death by breaking down the imagined beauty of the photos. In his various installation works that use reworked photos, Boltanski used serial geometric arrangements and desk lamps as industrial products, and the arbitrary changeability of photos, to express the objectification of people in fascist society through cataloguing and numbering, and through industrialized genocide. Meanwhile, the use of reliquary-like boxes and compositions that emphasize a central axis resembling that of an altar, and the use of soft electric lighting around the photos, evoke a religious sense of sacredness and transcendence, expressing condolences for the victims. Through these works, Boltanski thus raises the questions of the latent evil of humanity and human objectification as the tragic result of instrumental reason, providing a chance for deep insight into the Shoah as a historical ev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