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버닝> 에서 볼 수 있는 결핍의 이중성과 동시성 (The Duality and Concurrency of Deficiencies Seen in the Film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9.12
21P 미리보기
영화 &lt;버닝&gt; 에서 볼 수 있는 결핍의 이중성과 동시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기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기예술연구 / 16권 / 3호 / 177 ~ 197페이지
    · 저자명 : 정미숙

    초록

    이 연구는 영화 <버닝> 속 인물의 결핍에 관한 시네마 리터러시에 주목한다. 세 인물이 실존적 인물로서 현실과 관계 맺고 있는 결핍이 어떻게 이중적이고 동시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가난과 부자, 현실과 이상, 몸과 정신,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서 느끼는 인간의 근원적인 결핍에 대한 세 인물의 유기적 관계에 주목할 것이다. 이 영화에서 결핍은 종수와 벤의 관계에 있어서 현대사회 젊은 세대의 양축으로서 동전의 양면과 같은 존재다. 두 사람은 종수의 글쓰기 행위를 통해서 하나로서 전체를 이루고 있다. 해미는 현대 여성의 실존적, 존재적 시선이 아니라 물질적, 실증적 시선으로 대상화된다. 이러한 주제적 의미가 영화 속 메타포들로 구성됨으로써 자본이 경쟁력인 현대 사회에서 삶의 의미와 가치를 상실한 분노와 무기력과 구원에 대한 허무주의적 태도로 전개된다. 또한 이들의 관계는 인과론과 관계없이 우연에 의해 그들의 결핍이 사회적, 역사적으로 확장한다. 한편 영화 속에서 결핍은 문학적 메타포로 채워진다. 영화에서 결핍과 관련되는 메타포는 판토마임, 우물, 비닐하우스, 글쓰기이다. 네 가지 메타포는 결핍에 대한 상징으로써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현재의 공간 속에서 현실과 이상, 몸과 정신, 실증과 사유의 이중성으로 실현될 수 없는 것이다. 이들 결핍의 이중성은 우연에 의한 실증과 사유의 경계에서 현실적이고 이상적인 사건이 동시성으로 의미맥락을 생산한다. 이 지점에서 칼 융의 동시성이론을 차용하여 영화읽기를 마무리하면서 해미가 찾고자 했던 그레이트 헝거를 실현할 수 없는 현대 여성들의 실존적 상실과 허무에 대한 후속 연구를 남겨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inema literacy that represents the deficiencies in characters in the movie Burning. The aim is to study how the three nonfictional characters build bonds with the reality and the deficiency therewithin has twofold and simultaneous meanings. Specifically, the study will focus on the clos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characters in relation with the fundamental deficiencies of human beings that are represented through the poor and the rich, reality and ideality, body and spirit, and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In the movie, deficiency is depicted like a double-sided co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ngsoo and Ben, who symbolizes the two ends of the young generations. Such thematic meanings forms metaphors through the movie to represent the anger of losing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in the capitalistic and competitive modern society as well as the nihilistic view on the lethargy and salvation therein. Furthermore, the deficiency expands socially and historically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s solely by coincidence with no causal links. Meanwhile, throughout the movie, the theme of deficiency is depicted through literature metaphors, such as pantomime, well, greenhouse and writing. The four metaphors symbolize the deficiency that cannot be actualized with the duality of the reality and ideality, the body and spirit, and the proof and reason, in social and historic space and time. The duality in the deficiency of characters produce semantic context of simultaneity of realistic and idealistic events on the boundary between the proof and reason by coincidences. The movie analysis is concluded with a reference to the theory of synchronicity of Carl Jung, leaving the necessity for further analysis on the loss of actual existence and nihilism of the modern women who are unable to actualize the great hunger that Haemi seeks for in the movi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기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