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헤이안시대 남도(南都) 사원사회의 양가(良家) 신분 ― 고후쿠지(興福寺) 유마회(維摩會) 연학수의(硏學竪義)를 소재로 하여 (Ryoke as the Status of the Nanto Society in the Heian Period : With a Focus on Candidates of Kofukuji Yuima Ceremon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2.04
35P 미리보기
헤이안시대 남도(南都) 사원사회의 양가(良家) 신분 ― 고후쿠지(興福寺) 유마회(維摩會) 연학수의(硏學竪義)를 소재로 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역사연구 / 57호 / 41 ~ 75페이지
    · 저자명 : 김현경

    초록

    헤이안시대(平安時代)의 유력 불교 사원들은 천황 및 귀족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종교 권문(權門)으로 변신하였다. 헤이안 중기 이후, 권문 사원에서 출가한 황족과 상류 귀족층 출신자들은 세속에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사원사회의 상층부에 자리를 잡았다. 이들을 정점으로 사원사회 내부에 신분 질서가 형성되었다. 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 기록에 따르면 남도(南都)의 사원사회에서는 황족이나 섭관가(攝關家) 출신이 ‘귀종(貴種)’, 청화가(淸華家), 명가(名家) 출신이 ‘양가(良家)’라고 칭해졌다. 이러한 사원사회의 신분은 귀족의 가격(家格)과 연동되어 있다고 지적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그 중 ‘양가’에 주목하여 개념을 다시 정의하고, 양가 신분의 형성 시기와 귀족사회의 가격 형성과의 관계를 검토한다.
    양가 개념을 정의하는 데 있어 중요한 소재는 고후쿠지(興福寺) 유마회(維摩會)의 연학수의(硏學竪義)이다. 연학수의란 유마회에서 열리는 문답 형식의 시험인 수의(竪義)의 수험자 중 고후쿠지에서 선발된 사람들을 가리킨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이전에는 연학수의 2명을 선발하였는데, 1120년부터 매년 연학수의를 3명 뽑는 수자삼인제(竪者三人制)가 항례화(恒例化)되어 귀종, 양가, 범인(凡人) 각 1명이 선발되었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당시 사료를 통해 수자삼인제가 정착되지 못하고 다시 2인 체제로 복귀했음을 확인하였다. 수자 2명 중 1명은 양가자(良家子)를 선발하였고, 양가 혹은 양가자로 불린 사람들 중에는 섭관가 출신자도 포함되어 있으며, 헤이안시대 후기 사원사회에서는 귀종과 양가가 구분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매년 선발된 연학수의들 중 귀족층의 가문을 살펴보면, 위로는 섭관가 출신 승려, 아래로는 국사(國司)를 역임하는 수령층(受領層)이 있었다. 이러한 귀족층 출신자들이 연학수의 2명 중 1명으로 반드시 등장하는 11세기 후반에는 양가 개념이 성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원사회의 양가는 당시 귀족사회에서 오위(五位) 이상의 상, 중급 귀족들을 가리키는 양가 개념이 도입되면서 출현한 것이었다. 12세기 후반에는 양가 승려의 범위가 상급 귀족층으로 축소되었는데, 이는 귀족사회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사원 내의 독자적인 신분 질서가 규정되는 데서 비롯된 현상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After the middle of Heian period, princes or offspring of upper aristocrats, who entered leading Buddhist temples and became monks, maintained their status in the secular world and settled in the upper part of the temple society. Class system was formed in the temple society, as they were at the peak of it.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Muromachi period, in the temple society of Nanto(Nara), monks from Sekkan family were called “kishu(貴種)”, and Seiga and Meika family “ryoke(良家).”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se status of the temple society are linked to the family status of the aristocracy. This paper redefines the concept of ryoke, and finds out when the status of ryoke was formed.
    Kengaku ryugi(硏學竪義), candidates from Kofukuji for the question-and-answer test in the Yuima ceremony, is an important subject in defining the concept of ryok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re were two kengaku ryugis selecetd every year, but since 1120, the number of kengaku ryugis is considered to be increased to three, made up of one kishu, one ryoke and one ordinary person each. However, through historical records, it is confirmed that three-person system could not be established. One out of two was from ryoke, including persons from sekkan family, and there was no classification between kishu and ryoke in the Heian period.
    It is presumed that the concept of ryoke was established in the late 11th century, when the offspring of aristocrats appeared as one of the two kengaku ryugis. Ryoke status of the temple society emerged, while the concept of Ryoke in the aristocracy was applied. In the late 12th century, the range of ryoke monks has been reduced to the offspring of higher aristocrats, which is a phenomenon that differs from the aristocratic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