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벽암각성의 조형 활동과 신흥사 극락보전아미타삼존불상과 그 복장품의 연구 (A Study on Byeokam Gakseong’s Art Activities, the Amitabha Triad Statue in the Main Hall of the Sinheung‐sa Temple, and Contents Stored inside the Body)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5.12
21P 미리보기
벽암각성의 조형 활동과 신흥사 극락보전아미타삼존불상과 그 복장품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5호 / 13 ~ 33페이지
    · 저자명 : 문명대

    초록

    설악산 신흥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여래삼존불좌상에 대해서 몇 가지 의의를 밝힐 수 있다. 첫째, 1651년에 신흥사 극락전 아미타삼존불상과 지장시왕상들을 조성했는데 총책임자는 벽암 각성스님이고, 조각승은 무염스님이다. 무염스님은 벽암스님의 문도이고 극락전도 벽암스님의 문도들이 조성했다고 생각되므로 벽암스님은 당시 최고의 불교미술조성가로 많은 사찰의 불교미술들과 함께 신흥사의 중창에도 크게 활약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다.
    둘째, 신흥사 목아미타삼존불상은 복장축원문과 불상 밑면의 묵서명에 의해서 효종2년인 1651년에 당대의 저명한 무염(無染)이라는 전라도 조각승에 의하여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염은 1633년 선운사 대웅전 비로자나삼불상등과 1635년 불갑사 대웅전 삼세불상을 조성한 이후 1651년 신흥사 목아미타삼존불상과 목조지장보살삼존상, 1651년 비래사 비로자나불상, 1654년 불갑사 지장시왕상, 1656년 전주 송광사 나한전 석가삼존상과 16나한상 등을 조성한다. 1651년작 신흥사 불상들은 1647년 용흥사 목아미타삼존상 내지 특히 무염에 의해서 조성된 전주 송광사 나한전 석가삼존상과 흡사하며, 1652년 전주 정수사 목아미타불상 등과도 친연성이 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서 이 당시 불상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특히 그의 작품경향은 그 이후 전라도 일대의 불상에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는 사실도 밝혀낼 수 있다.
    셋째, 불상 복장축원문을 분석하여 이 불상을 조성한 무염(無染)은 전주 송광사 나한전의 석가삼존상 등 5종의 불상을 조성했던 작가 무염과 동일인임을 밝혔는데 강원도까지 진출한 전라도 조각승들에 대해서 앞으로 좀 더 철저히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With regard to the Wooden Seated Amitabha Triad Statue enshrined in the main hall of the Sinheung‐sa Temple in Mt. Seolak, this study found a number of meanings. First, the Amitabha Triad Statue and the Ksitigarbha Boddhisattva statues in the main hall of the Sinheung‐sa Temple were created in 1651, and the general director for the project was Priest Byeokam Gakseong and the monk sculptor was Muyeom. Priest Muyeom was one of Byeokam’s disciples and the main hall is also believed to have been built by Byeokam’s disciples, and this suggests that Priest Byeokam was the greatest Buddhist artist in those days and involved also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Sinheung‐sa Temple along with Buddhist artists from many other temples.
    Second, the written prayer found inside the body and the inked inscription on the bottom of the statue show that the Wooden Amitabha Triad Statue at the Sinheung‐sa Temple was created in 1651 (2nd year of King Hyojong) by Muyeom (無染), the great renowned monk sculptor of the day from Jolla‐do. Muyeom created the Vairocanna Triad Statue in the Dharma Hall of the Seonun‐sa Temple in 1633 and the Triad Statue in the Dharma Hall of the Bulgap‐sa Temple in 1635, and then the Wooden Amitabha Triad Statue and the Wooden Ksitigarbha Triad Statue at the Sinheung‐sa Temple in 1651, the Vairocanna Buddha Statue at the Birae‐sa Temple in 1651, the Ksitigarbha Boddhisattva Statue at the Bulgap‐sa Temple in 1654, the Shakyamuni Buddha Triad Statue and 16‐Arahat Statue in the Arahat Hall of the Songgwang‐sa Temple in Jeonju in 1656, etc. The Buddha statues at the Sinheung‐sa Temple created in 1651 are quite similar to the Wooden Amitabha Triad Statue at the Yongheung‐sa Temple created in 1647 and particularly to the Shakyamuni Buddha Triad Statue in the Arahat Hall of the Songgwang‐sa Temple in Jeonju created by Muyeom, and show a high affinity to the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 at the Jeongsu‐sa Temple in Jeonju created in 1652. These suggest that the Amitabha Triad Statue was a representative Buddha statue in those days. What is more, it was found that Muyeom’s style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uddha statues built around the Jolla‐do area.
    Third, the written prayer found inside the body of the Buddha statue showed that Muyeom who created the Buddha statue was the same person as ‘Muyeom’ who created five different types of Buddha statues including the Shakyamuni Buddha Triad Statue in the Arahat Hall of Songgwang‐sa Temple in Jeonju. Thus, it is considered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to make more thorough analysis of Jolla‐do monk sculptors who advanced up to Gangwon‐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