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화 <복 빌린 나무꾼>에 나타난 부모 되기의 문제와 그 문학치료학적 해석 (Parenting in Folk Tales: Using Literary Therapy to Analyze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5.07
29P 미리보기
설화 &lt;복 빌린 나무꾼&gt;에 나타난 부모 되기의 문제와 그 문학치료학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36권 / 101 ~ 129페이지
    · 저자명 : 하은하

    초록

    본고의 목표는 설화 <복 빌린 나무꾼>이 오늘날의 독자들에게 줄 수 있는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호텍스트성, 문학치료학의 개념을 빌려 왔고 <삼공본풀이> 설화와의 상호 참조를 통해 <복 빌린 나무꾼>의 의미를 추적하였다. <삼공본풀이>를 특별히 주목한 까닭은 두 작품 모두, 부모 자식의 관계를 주목하면서 특히 복 없는 부모와 복 많은 자녀와의 갈등과 해결이라는 유사한 문제를 다루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 빌린 나무꾼>의 나무꾼은 <삼공본풀이>의 강이영성에 해당되고, 차자는 가믄장아기에 해당된다. 나무꾼과 차자는 혈연으로 맺어진 부자관계는 아니지만 차자를 자기 가족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면서 차자를 보호하고, 양육하는 나무꾼의 입장은 부모와 같은 것이다. 결국 <복 빌린 나무꾼>은 <삼공본풀이>를 부모의 입장에서 재구성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둘째 나무꾼은 강이영성이 결혼 전에 거지였던 것처럼 처음에는 아무리 노력해도 가난했다. 나무꾼은 강이영성이 아버지가 되면서 차차 부자가 된 것처럼 앞으로 태어날 차자의 복을 빌려오면서 부자가 된다. 또 나무꾼은 강이영성이 누구 덕에 사느냐는 질문에 내 복이라 답한 셋째 딸을 쫓아낸 것처럼 자신의 노력을 복 주인에게 내어 주는 것이 싫어 달아났다. 또 강이영성이 가믄장아기의 복을 인정하고 화해했던 것처럼, 나무꾼의 박복한 운명은 차자를 자신이 보호하고 양육해야 하는 자녀로 인정하게 되면서 바뀌게 되었다.
    셋째, <복 빌린 나무꾼>의 서사 단락들은 부모 되기의 과정을 보여준다. 처음에 나무꾼은 노력해도 가난했다. 그것은 그의 물질적으로 가난과 함께 빈곤한 인간관계와 관련된다. 나무꾼은 자신의 문제 해결에만 골몰한 나머지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는 것은 사치라거나, 가치가 없는 일이라 생각했다.
    다음으로 옥황상제가 나무꾼에게 처방한 제안은 다른 사람의 복을 빌리라는 것이었다. 그것은 나의 문제는 다른 인연들과의 관계망 속에서 변화될 수 있다는 암시를 담고 있었다. 나무꾼은 옥황상제의 제안을 받아들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복 주인을 피해 달아났다. 이것은 나무꾼이 실제 삶에서는 여전히 복 주인과 관계를 맺는 것을 부담스럽게 여기고, 자신의 공을 나누어 주는 일을 아깝게 여기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마지막 단계에서 나무꾼은 복의 주인과 똑같은 이름을 가진 거지 부부의 자녀를 만나자 그 가난한 가족들을 자기 가족으로 받아들이고 봉양한다. 이것은 나무꾼이 세상의 부모 노릇을 감당하는 변화된 모습을 담고 있다. 나무꾼은 양육이란 부담이 아니며, 주변의 인연들과 관계를 맺으며 복을 나누고 빌려 쓰면서 모든 이들의 삶의 풍요로움을 지속시켜 나가는 길임을 깨닫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olk tale <The Woodcutter Who Borrowed Fortune> that give meaning to today's readers.
    This paper borrows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and Literarytherapy for this purpose. <The Woodcutter Who Borrowed Fortune> is a Korean traditional folk tale orally passed down the generations. Prior analysis of this story has established the story to b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s and humans; the role of luck and fortune in every man’s existence and ultimate fate. However, the folk tale no longer has any impact on modern readers due to the superstitious nature of the story. This paper uses <Samgong Bonpoori> to cross reference meaningful ideas as well as the concept of Literarytherapy to analyze a new meaning of <The Woodcutter Who Borrowed Fortune>.
    The main idea of <Samgong Bonpoori> is about gaining independence and creating one’s own life, and by comparing both texts, it becomes clear that the same narrative is told through different perspectives. Analysis of <The Woodcutter Who Borrowed Fortune> tends to overemphasize on the role of uncontrollable chance or a higher power for the wealth, success, authority or general well-being in a man’s life. However,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The Woodcutter Who Borrowed Fortune> and <Samgong Bonpoori>, the story takes on a new meaning in the form of warning readers of careles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