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蕙園 申潤福의 風俗畵에 나타난 妓女의 이미지 텔링(image telling) (Image telling of Gisaeng on the Genre Paintings of Sin Yoon-bok)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5.09
24P 미리보기
蕙園 申潤福의 風俗畵에 나타난 妓女의 이미지 텔링(image telling)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64호 / 143 ~ 166페이지
    · 저자명 : 엄소연

    초록

    본 연구자는 朝鮮後期의 時代的 變動狀況이 반영된 風俗畵 중에서 市井風俗과 妓女의 삶을 주로 표현했던 화가 蕙園 申潤福의 都市風俗畵를 통해 妓女의 이미지 텔링을 分析하고 그 의미를 解釋해봤다.
    朝鮮後期에 성행한 風俗畵는 지배층의 賤視로 ‘俗畵’라 불렸으며 都市風俗畵는 서울의 遊興․消費도시 성장과 함께 발전했다. 한편, 士人風俗畵는 閑居의 靜的․內的行爲가 動的․外的行爲로 변화된 樣相과 趣事의 豪奢化․習癖化를 나타냈다. 당시의 享樂文化와 妓女의 삶에 近接했던 蕙園이 그려낸 妓女의 이미지는 그의 妓女에 대한 경험에 작가적인 觀點, 意圖, 메시지를 더해 再現하고 再構한 것이다. 따라서 그의 風俗畵 속에 담긴 妓女들의 場面性은 朝鮮後期 ‘스토리 세계’ 속의 非主流集團인 ‘方外人’ 蕙園과 妓女의 삶 그리고, 이들과 照應한 主流集團(京華世族 및 閭巷人)을 통해 현실감을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자는 朝鮮後期의 妓女와 京華世族 및 閭巷人의 관계에서 일어난 場所別 行爲를 중심으로, 蕙園이 再現한 『蕙園傳神帖』의 17面에 대한 妓女의 이미지 텔링을 분석해봤다. 그 결과, 朝鮮後期 妓女들의 行爲는 內部보다 外部에서 발생했는데 주로 遊興的․行樂的․消費的 歲時風俗놀음에 동반하거나 性風俗과 관련한 行爲였다. 놀이에 동반할 때에는 사회규범의 違反에 同參하는 경향을 띄었고, 性賣買나 戀愛는 犯夜의 樣相을 나타냈다.
    결국, 朝鮮後期의 妓女는 富와 權力의 誇示 및 五感的 欲求 充足에 몰두했던 主流集團에게 歌舞樂과 性的 接待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유일한 존재였을 뿐만 아니라 대외적인 ‘遊興의 公共性’의 機制로 작동했던 ‘사회적 실체’로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for reading gisaeng image, I would focus on visual message that the author (painter) reflects on it. It is not only the meaning of gisaeng image by the author but also the communication mode of socio-cultural agreement or code. The gisaeng image, therefore, is not just reproduction of the author's visual experiment about gisaeng but representation and reconstruction of gisaeng by author's intention.
    With this background, I pointed out Sin, Yoon-bok (pen name, Hyewon; 1758?-after 1813)'s city-genre painting which was shown up strong expression of gisaeng and merrymaking city life on Hanyang in late Joseon period. Hyewon, who regarded as an 'outsider', could very closed to the minority (lower-classed women and gisaeng) which was related to the majority (main nobilities and middle class people of the capital), so he produced more rich gisaeng image. According to the gisaeng image of Hyewon, we are able to understand their communication mode of story world, and feel empathy their lives by image telling.
    Therefore, I would research the image telling of gisaeng on Hyewon's genre paintings such as follows; First, I examine genre painting which is prevalent by the social context in late Joseon period with change of the majority's desire and idea. Second, I reveal Hyewon's viewpoint as an author through his life history and works' characteristic. Third, I classify seventeenth gisaeng images of Hyewon's genre paintings album, ≪Hyewonjeonshincheop≫ by place, then analysis them by action. Finally, I interpret the image telling of gisaeng with their socio-cultural r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