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복부인’의 경제적 표상과 문화적 재현 (The Economic Symbol and Cultural Representation of ‘Bokbuin’ in the 1970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0.12
36P 미리보기
1970년대 ‘복부인’의 경제적 표상과 문화적 재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40호 / 505 ~ 540페이지
    · 저자명 : 황병주

    초록

    1970년대 말 부동산 투기를 통해 등장한 복부인은 사회적 지탄의 대상이었지만 여성의 경제 주체화를 반영한 표상이기도 했다. 화폐흐름에 따른 남녀관계를 역전시키는 상징이었다. 화폐 취득을 주요 원천으로 했던 남성의 가부장 권력은 경제적으로 독립한 복부인의 출현으로 큰 위기를 맞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가정의 위기로 연결되었고 복부인은 윤리적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위기는 가정으로 국한되지 않았고 복부인은 사회경제적 재생산 전반의 무질서와 혼란을 초래하는 원흉으로까지 여겨졌다. 1970년대는 자본주의적 시장경제가 전면화되면서 화폐취득을 둘러싼 사회적 경쟁이 노골화되는 국면이었고 그것이 초래한 사회적 긴장과 갈등 역시 팽배해질 수밖에 없었다.
    투기는 이러한 상황의 단면이었는데, 국가의 정책적 실패와 자본주의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는 문제였다. 복부인은 이를 은폐하고 희석시키는 소재로 적극적으로 부각되었다. 특히 윤리적 문제설정에 있어 복부인은 훌륭한 소재였다. 이 언설체계는 1980년대를 거치면서 더욱 확대되었고 사회적 영향력을 키워갔다. 어느 시점부터 복부인은 사회적 문제와 윤리적 타락을 상징하는 대표 명사가 되었고 현재까지도 그 영향력이 크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n the late 1970s, Bokbuin(speculating woman), who appeared through real estate speculation, was the subject of social criticism, but it was also a reflection of women's economic self-reliance. It was a symbol that revers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according to the flow of money. The patriarchal power of men, whose main source was money acquisition, is facing a major crisis due to the emergence of economically independent Bokbuin. This soon led to a family crisis, and the Bokbuin became the subject of ethical criticism. The crisis was not confined to the home, and the Bokbuin was considered a source of disorder and confusion throughout socioeconomic reproduction. In the 1970s, the social competition over the acquisition of money was becoming blatant as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became sweeping, and the social tension and conflict it caused were also bound to proliferate.
    Speculation was a cross-section of this situation, with the government’s policy failures and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capitalist market. Bokbuin was actively highlighted as a material that covered up and diluted them. In particular, the Bokbuin was an excellent material for setting ethical problems. Throughout the 1980s, this system of speech became more widespread and developed social influence. From some point on, Bokbuin has become a representative noun that symbolizes social problems and ethical decline, and it is still highly influent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