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흠과 명대 문학—명대 복고시학과 저술을 중심으로 (Study on Literature of Shin Heum and Ming Dynasty - Focus on Poetry and Writing of Ming Dynas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4.11
29P 미리보기
신흠과 명대 문학—명대 복고시학과 저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65호 / 123 ~ 151페이지
    · 저자명 : 부유섭

    초록

    이 글은 신흠과 명대문학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지식 생산과 재생산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우선 조선 중기 일부 문인 사이에서 수용된 명대 복고파 문학과의 공유점과 개성을 통해 드러난 조선의 학명시파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학명시파에 속하는 문인들은 시인의 개성에 따라 비평적 관점이 서로 유동적이었으며, 창작 내용도 상이하지만, 명 복고파의 지향성을 공유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를 첫째, 시 학습과 복고파와의 관계, 둘째, 시어와 구문의 층위, 셋째, 작품의 층위에서 검토하였다. 특히 신흠의 시 학습과 복고파와의 관계에서는 문학으로써의 古學을 보여주는 고시와 고악부가 이반룡의 창작에서 모티브를 취해 창작하고 수용한 것으로 보았다. 신익성 역시 그의 악부 창작이 왕세정의 논의와 상사점이 있음을 점검하였다. 또한 시어와 구문의 층위에서 명 복고파에서 수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어휘와 시구를 검토하고, 창작의 층위에서 신흠의 시작을 통해 복고파의 영향관계를 밝혔다.
    이후 『衛道通紀』, 『鐵網餘枝』, 『藍田遺璧』, 『野言』 등을 검토하여, 신흠이 蒐補와 抄書를 통해 명대 저술을 재해석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을 밝혔다. 이처럼 명대 저술을 흡취하여 재편한 편서들은 단순히 새로운 지식 생산에만 머물지 않고 조선에 새로운 지적 활력을 불어넣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knowledg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process by reviewing the relation with the literature of Sin Heum and Ming Dynasty. First,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mmon points and individuality of Ming's revivalis school literature which was accepted by some writers of mid Joseon Dynasty. Above all, Hakmyeongsipa (學明詩派) of Joseon displayed flexible viewpoint of criticism according to the poet's individuality, which has some common part which shares directivity of Ming's revivalist school, nevertheless the creative content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searcher examined this based on, first, relation between poetry study and Ming's revivalist school, second, layer of poetic language and sentence (句文), third, layer of the work. Also,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in the relation between poetry study of Shin Heum and revivalism, old-style poetry and old music-bureau poems which showed old study were created by taking motif from Yi Banyong (李攀龍)'s creation, Ming Dynasty, and accepted this. Shin Yig-seong, also, reviewed that some of his music creation had mutual likeness with Wangsejeong's discussion. In the layer of poetic language and sentenc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vocabulary and poetic phrases which are judged to be accepted from Ming's revivalism. In the layer of creation, the researcher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relation with revivalism through Shin Heum's poetic works, however it was insufficient so tha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by expanding concrete work analysis.
    Henceforth,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and internalizing the writings of Ming Dynasty through Subo (蒐補) and Choseo (抄書) by reviewing Shin Heum's books, i.e. 『Widotonggui (衛道通紀)』, 『Cheolmangyeogui (鐵網餘枝)』, 『Namjeonyubyuk (藍田遺璧)』, 『Ya-eon (野言)』,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