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택 深福寺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Seated Stone Vairocana Buddha Image of Shimboksa at Pyongtaek)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12
32P 미리보기
평택 深福寺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65호 / 235 ~ 266페이지
    · 저자명 : 최성은

    초록

    평택 심복사 대적광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지권인(智拳印)을 결(結)한 고려시대의 불상이다. 이 불상의 조성배경에 대해서는 전하는 기록이 없고, 다만, 고려 말에 불상을 바다에서 건져 새로 사찰을 지어 봉안했다는설화가 전해오고 있어 원래 불상이 봉안되어 있던 사찰도 지금의 심복사와 멀지않은 평택지역의 해안가에 있었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심복사가 위치한평택지역은 여러 개의 하천을 끼고 있는 비옥한 곳이며 당항성과 맞닿아 있어 해상교류의 요충지이고 심복사 인근의 성곽유적에서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유물이출토된 점을 고려할 때, 심복사 비로자나불좌상이 원래 조성되었던 절은 서해안으로 진출하기 위한 거점 사찰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심복사 비로자나불상은 대의(大衣) 양쪽 깃에 화문(花紋)이 새겨지고 내의를 묶은 매듭이 리본처럼 늘어진 표현에서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867년)과 매우 유사하나, 옷주름 처리에서는 도식화된 매너리즘을 나타나며, 온화하고 인간적인 상호(相好)와 둥글고 부드러운 양감이 돋보이는 조각기법은 여주, 안성, 원주, 홍천, 강릉 등, 오늘날의 경기도, 강원도 일대에서 전해오는 나말여초부터 고려전기까지의 석불들과 매우 유사하다. 한편, 대좌 하대석에 새겨진 안상(眼象)에 고려 중기 불상 대좌와 석조물에서 유행했던 꽃머리 장식이 표현되지 않은 것에서 볼 때 심복사 비로자나불상의 제작시기는 고려초 10세기 후반일 개연성이 크다. 이 시기의 석불들은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981년), 고령 개포동 마애보살좌상(985년)에서 보이듯이 지역성이 강하게 나타나거나 조형적으로 지방화된 상들도 전해오는데, 평택 심복사 비로자나불상은 통일신라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나말여초의 전환기에 새롭게 변화된 요소들을 모두 가지고 있는 고려초기에서 중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불상으로 생각된다. 심복사 비로자나불좌상의 대좌 중대석 좌우의 사자 두마리는 통일신라시대 대방광불화엄경 변상도(755년)와 통일신라·고려초 비로자나불상들에서 보이는 7사자 대좌의 밀교적(密敎的) 도상이 단순하게 변형된 것으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one Vairocana Buddha image enshrined in the main hall of Shimboksa(深福寺) temple located near the south seacoast of Pyongtaek(平澤), Geonggi Province. There is no extant textual evidence regarding the execution dates of this image and the original temple where it was first enshrined. It is known only by legend that the image was fished out of the sea in the late Goryeo period by three laymen, who built a new temple for this image. The Pyongtaek region located on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assume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not only as the sea lane and traffic route for communications with China, but also as the defending base during Unified Silla, Taebong and Georyo period. It is therefore assumed that the Buddhist temple where Shimboksa image was first enshrined was constructed by a powerful clan of this region.
    The pedestal of Shimboksa image shows two lion images on both sides of its middle part, which is likely the modification of the seven-lion type pedestal(七師子 臺座) of Vairocana Buddha(毗盧遮那佛) that is based on the iconography of Esoteric Buddhism prevailed in Tang China. The introduction of Esoteric Buddhism to the Unified Silla is shown by the pedestal with seven lions of Vairocana image of the 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華嚴經) dated 755, which is now in the collection of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The mudra and flower designs carved on the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robe collar in the Shimboksa image, while it shows manneristic features in style, is reminiscent of ninth century sculptures, such as the stone Vairocana image at Chukseosa(鷲捿寺) dated 867. Shimboksa image shares similar stylistic features with the stone Buddhist images of the late Unified Silla and the early Goryeo period at Yeoju(驪州), Anseong(安城), Wongju(原州), Hongcheon(洪川), Gangneung(江陵) of present-day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r, particularly in its warm and humanistic face expression, as well as the sense of volume in their curved surface.
    Iconographical and stylistic analysis shows manneristic features of drapery folds and modifications of iconography, which are hardly found in any images of the late Unified Silla and early tenth century Goryeo. Also, the decorative design with a flower in the center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rt of the pedestal, which was popular in the early eleventh century, does not appear in the Shimboksa image. It seems probable that Shimboksa image was made in the late tenth century of Goryeo Period with the support of a powerful regional clan who wanted to make the best of Buddhist temple as a base for the sea lane rou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