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荒服’의 재해석 : ≪黔書≫와 淸 제국 邊境의 공간 (Redefining Huangfu(荒服): the Qianshu(『黔書』) and the frontier space of the early Qing(淸) empir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7.03
40P 미리보기
'荒服’의 재해석 : ≪黔書≫와 淸 제국 邊境의 공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67호 / 399 ~ 438페이지
    · 저자명 : 최수경

    초록

    본고는 청 제국 초기 貴州에서 근무했던 관리이자 문인인 田雯(1635-1703)의 『검서』(1690)를 중심으로 당시의 지식인들이 변경 공간의 자연과 사물, 사람들을 어떻게 재현했는지, 이러한 재현 방식은 기존의 글쓰기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중국 서남부 변경 공간의 의미는 이전과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명대 후기까지 귀주를 비롯한 서남부 변경을 재현한 기록들은 대부분 중원과 이곳이 얼마나 다른지 그 ‘차이’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변경 지역의 기이한 사물과 초현실적인 힘을 지닌 사람을 재현함으로써 이곳은 비록 정치적으로는 중국의 일부이지만 문화적, 심리적으로는 異域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실제로 이 지역은 18세기 초기까지 실질적으로 토착민 지도자에게 통치를 받았던 半자치 구역이었다. 하지만 청 제국이 수립된 이후 변경 지역에 대한 조정과 지식인들의 인식에 조금씩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다. 조정에서는 이 지역 토착민들을 교화시켜 문화적, 사상적으로 漢化시켜야 된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다. 전문의 『검서』는 이전의 기록들과 달리 귀주 공간의 기이함을 강조하는 대신 이 곳의 자연을 중국적인 산수화처럼 재현한다. 이러한 글쓰기 방식은 귀주를 일상의 공간으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전에 중국 관리들에게 공포의 대상이었던 이곳의 毒草에 대해서도 당시 유행하던 박물학적 서술을 진행하여 이곳의 자연물에 부여된 역사적, 사회적 함의를 제거한다. 이러한 재현 방식은 모두 귀주를 심리적 異域이 아닌 제국의 일부로 구성하고자 하는 욕망이 반영되어 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여전히 이곳의 사람들에 대해서는 이전과 별로 다르지 않은 방식의 재현을 반복하고 있다. 그가 이 책에서 사용한 민족지 서술은 당시 다른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공유된 지식체계의 일부이며 그는 이를 그대로 사용한다. 즉 그는 이 공간이 우리의 일상 영역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여전히 이곳의 사람들은 야만적이고 비도덕적임을 강조함으로써 이곳이 절실히 개선이 필요하며 또한 개선 가능한 공간임을 보여준다. 즉 『검서』는 귀주를 청 제국의 문명화 프로젝트를 수용하기에 매우 적당한 공간으로 의미화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intellectuals of the time reproduced the nature, objects and people of the changing space, how this reproduction differs from the existing writing, and the meaning of the changing space in the Southwest of China, with a focus on “Qianshu” (1690) of Tian wen (田雯, 1635-1703), the official and literary worker who worked in Guizhou in the early Qing empire. Until late Ming Dynasty, most of the records that reproduced the change of the southwest part including Guizhou emphas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ral plains (中原) and this place. And by recreating the person with the strange things and the surreal power of the changing area, although the area was politically part of China, it has also been regarded as a alien land(異域), both culturally and psychologically.
    Indeed, the area was a semi-autonomous region that was virtually dominated by indigenous leaders until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Howev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Qing Empire, smaller changes to the changing region as well as changes to the perceptions of intellectual were starting to take place. The argument for cultural and ideological sinicization of the indigenous people through introducing civilization gains power. Tian wen's "Qianshu", unlike the previous record, emphasizes the wonders of Guizhou space, and reproduces the nature of the place like a Chinese landscape painting. Such a writing method serves to reduce Guizhou into a space of everyday life. Also, the poisonous herbs of this place, which had previously been a source of fear for the Chinese officials, are subjected to the naturalistic narrative of the time, thereby eliminat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implications given to natural products here. All of these representations reflect the desire to construct Guizhou as part of the empire, not a place that is psychological distant. However, it does not differ from previous representation in terms of portrayal of people. The ethnographic description he used in this book is part of a shared knowledge system that can be found in other literature at the time, and he uses it without making any changes. Therefore, he emphasizes that this space is not much different from areas in our daily lives but that people there are still barbarous and immoral, showing that this is a place where improvement is necessary and possible. In other words, "Qianshu" symbolizes Guizhou as a very suitable space to accommodate the civilization projects of the Qing Emp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