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온(五蘊)으로 본 정신적 고통의 원인과 치유 방안 (Causes of Mental Agonies and a Method of Curing Them Based on the Five heap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6.12
20P 미리보기
오온(五蘊)으로 본 정신적 고통의 원인과 치유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82호 / 105 ~ 124페이지
    · 저자명 : 최동훈

    초록

    현대인들 중에 많은 사람들이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며 살아가고 있다. 치료를 위해 약을 복용하고 심리 상담도 받아 보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왜냐하면 고통의 근본 원인은 제거하지 않고 겉으로 드러난 현상만을 갖고 치료를 하기 때문이다. 결국 원인을 해결하지 못한 고통은 재발하게 마련이고 더욱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마다 고통을 겪게 되는 원인이 다르고 종류도 다른 만큼 고통의 수도 굉장히 많을 것이라 생각을 한다. 그렇지만 붓다에 따르면 인간을 괴롭히는 고통의 종류는 단지 여덟 가지이다. 마치 세상의 색이 무수히 많은 것 같아도 결국은 일곱 가지 색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 할 것이다.
    팔고는 생을 받는 괴로움[生苦], 늙는 괴로움[老苦], 병드는 괴로움[病苦], 죽는 괴로움[死苦], 좋아하지 않는 사람과 만나는 괴로움[怨憎會苦], 좋아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괴로움[愛別離苦],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괴로움[求不得苦] 그리고 인간의 몸과 마음을 구성하는 오온(五蘊)이 성하여 일어나는 괴로움[五蘊盛苦]을 가리킨다. 이 중에서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일곱 번째 괴로움은 앞서 다른 여섯 가지 괴로움을 낳는 표면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으며, 여덟 번째 괴로움인 오온(五蘊)이 성하여 일어나는 괴로움은 모든 고통의 근본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생로병사에 따른 괴로움과 싫어하는 사람을 만나는 괴로움 그리고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지 못하는 괴로움은 결국 원하는 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괴로움이다. 그러므로 정신적인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원하고 바라는 마음, 즉 욕심을 내려놓는다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고에서는 마음을 내려놓는 방법을 현대인들의 정신적인 고통을 해결하는 중요한 치료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것으로도 근본적인 치유책이 될 수가 없다. 왜냐하면 고통의 근본 원인은 여전히 해결이 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붓다가 제시한 팔고 중에서 여덟 번째인 오온(五蘊)이 성하여 일어나는 고는 그야말로 모든 고통의 근본 원인이 되는 고통이다. 그것은 붓다가 근본 교리로 제시한 사성제(四聖諦)와 깊은 관련이 있다. 사성제는 괴로움에 대한 진리, 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진리,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한 진리를 말하고 있다. 그 중에서 두 번째 진리인 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진리는 그 원인을 ‘집(集)’으로 보고 있다.
    모든 정신적 고통의 원인은 오온(五蘊)이 성하여 일어나는 것이고, 그것은 집하여 일어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을 알아 오온(五蘊)이 성하여 일어나는 것을 내리고, 집하여 일어나는 것을 멸한다면 근본적인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붓다가 그 방법으로 제시한 것이 바로 팔정도(八正道)를 실천하는 것이며, 명상을 수행으로 삼는 것이다. 본 노고에서는 이 방법이 현대인들의 정신적 고통을 치유하는 중요한 길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영어초록

    Many modern people live with mental agonies. Though they take medicines and seek psychological counsel, they cannot find a radical solution, because they do not eliminate the basic causes of their agonies but do just treat superficial symptoms. An agony without solution necessarily recurs and often results in a more serious situation.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re are great many kinds of agonies as people have different causes and types of agonies. According to Buddha, however, there are only eight agonies that afflict human beings. This is like the fact that we have seven colors as the base though there seem to be innumerous different colors.
    The Eight Agonies refer to the birth agony, the aging agony, the disease agony, the death agony, the agony caused by being unable to see one’s beloved person, the agony caused by parting from one’s beloved person, the agony caused by being unable to get things one wants to have, and the agony caused by the thrift of O-On’s (五蘊), which comprise the human body and soul. Of them, the seventh agony can be said to be a superficial cause of the previous six agonies, and the eighth agony is the basic cause of all the other agonies.
    The agonies caused by birth, aging, diseases, and death, and by meeting one’s hated persons, and by being unable to see one’s beloved persons occur because one cannot get what he or she want. Thus, people who suffer metal agonies are very likely to escape from their agonies if they throw away their wanting soul, that is, their desires. Then, the current thesis presents a way of throwing away one’s wanting mind as an important cure that will solve modern people’s mental agonies. However, this cannot be a radical cure because the basic cause of the agonies remain not resolved.
    Of the Eight Agonies suggested by Buddha, the eighth agony that is caused by the thrift of O-On’s is the very underlying agony of all the agonies. It is deeply related to Sa-Seong-Je, which Buddha presented as an underlying doctrine. Sa-Seong-Je refers to the truth for agonies, the truth for the generation of agonies, the truth for the elimination of agonies, and the truth for the way of escaping from agonies. Of these truths, the second truth, which is for the generation of agonies, takes ‘Jip (集)’ as the cause.
    All mental agonies occur with the thrift of O-On’s, that is O-On’s gather to cause agonies. Thus, one can escape from underlying agonies if he or she oppresses the thrift of O-On’s and terminates what gather to rise. The way Buddha presented was to practice Pal-Jeong-Do, and to take meditation as training. The current thesis emphasizes that this is the only clear way for modern people to cure their agon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