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본주의 다양성 관점에서 본 젠더와 계급의 교차성 (Intersection of gender and class from the varieties of capitalism perspectiv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0.09
25P 미리보기
자본주의 다양성 관점에서 본 젠더와 계급의 교차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26권 / 3호 / 65 ~ 89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젠더에 기반한 차별과 불평등은 어떻게 완화되는가? 자본주의적 시장의 힘을 통해 전근대적 위계관계가 해체될 것이라고 보았던 마르크스주의와 신고전주의 경제학은 모두 시장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적어도 노동시장 내에서 차별적 관행이 사라지고 젠더 간의 불평등이 소멸될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양성평등의 선형적 진보 가설은 통시적 연구, 비교연구 등에서 관찰된 결과와 부합하지 않는다. 최근 자본주의 다양성(varieties of capitalism) 논의와 젠더 불평등을 결합시키려는 노력들은 각 국가별 젠더불평등의 발현 양상이 매우 상이하며, 그 진화 양상 또한 하나의 궤적이 아니라 다양한 궤적들을 보일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 기반해 있다.
    이 연구는 선진자본주의 국가들에서 노동시장 내 남녀 소득격차가 완화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분석한다. 자본주의 다양성 논의에서 이론적 자원을 들여오며 방법론적으로는 남녀 소득 분포의 변화를 분석하는 분포적 접근법을 취한다. ISSP(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1993, 1994년과 2006, 2007년 자료를 이용하여 영국, 미국, 독일, 일본, 노르웨이, 스웨덴 등 6개국의 남녀 소득분포 변화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노동시장 내 남녀 소득격차가 변화하는 양상은 생산체제에 따라 상이하며 자유시장경제에서는 젠더-특정적 조건 변화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민주의형 조정시장경제에서는 구조적 조건 변화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How can gender-based inequality in the labor market be mitigated? Both Marxism and Neo-classical economics argue for a linear progression of gender equality in the labor market in the sense that they predict a revers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inequality and the strength of market competition. However, these prediction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observed results. The reason why such a linear progression hypothesis is not empirically supported is because the reality of gender inequality in each society differs greatly from one another, so does the evolutionary trajectory of gender equity.
    In the vein of recent attempts of gendering varieties of capitalism, this study analyses concrete processes in which gender inequality in the labor market is reduced in the six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Drawing in theoretical resources from varieties of capitalism, this study utilizes a distributional approach to analyze changes in male and female earnings distributions. Using ISSP data of 1993, 1994 and 2006, 2007,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gender earnings distributions of th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Germany, Japan, Norway, and Sweden.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rocess of which gender equality is achieved in the labor market differs by production systems. In the liberal market economy, changes of gender-specific factors contribute more to the reduction of gender wage gap, whereas in the coordinated market economy, it is the structural factor that contributes the mo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