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심의 해석학을 통해서 본 한국개신교 예배 (Critical Reflection on Korean Protestant Worship through the Lens of the Hermeneutic of Suspic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2.05
22P 미리보기
의심의 해석학을 통해서 본 한국개신교 예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과 인식 / 36권 / 1호 / 131 ~ 152페이지
    · 저자명 : 박종환

    초록

    타인의 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그 문화를 바라보는 학자에 눈에 의해서 구성된 타인의 문화의 총체적 시스템이 아니라 타인을 이해하는 과정에 나타난 자기 이해이고 형성의 과정이다. 마찬가지로, 예배학자가 예배를 이해하는 것은 연구대상이 되는 공동체의 이해를 통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형성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종교 예전을 연구하는 학자는 주관적인 자신의 종교적 신념과 선이해 없이 또는 참여자들에 대한 이해와 통찰 없이 예전 자체만을 연구하기 어렵다. 따라서 예전을 연구한다는 것은 상당히 다층적인 분석과 묘사를 필요로 한다. 이글은 폴 리꾀르의“의심의 해석학”을 통해 한국개신교 예배의 퍼포먼스가 어떤 의미를 생산해내고 그 결과적인 효과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은 예배가 어떤 역동성을 통해 회중에게 영향을 미치고 특정인의 관점이 재생산되고 확장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종교의 상징과 이미지는 예배의 참여자로 하여금 감정을 유발하고 영향을 주기에 종종 오용된다. 예배는 스스로 비판적 성찰의 기능을 상실하면 특정한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가치를 전파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예배 경험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때, 사회적 정치적 의미와 영향이 드러나고 예배 경험을 통해 진정 경험되어야 할 진리가 감추어지지 않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Ethnographic writing is a process of “self-fashioning,” since the very act of writing about others is the construction of selves and others through specific discursive practice. In the same way that the insider and the ethnographer (outsider) should co-work discursively to observe the cultural dynamic, liturgical scholars should allow insiders (participants) to speak for themselves about what really happens in worship.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liturgical scholars to observe how participants themselves understand and describe their experience. We can observe, very often, our interpretations of religious rituals are incorporated into socio-cultural interest through images and symbols of religious tradition. This is why we need crit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s, whenever we deal with religious symbols and images which may invoke, affect, and even manipulate its participants in ritual performance. In his book. Hermeneutics and The Human Sciences, Paul Ricoeur observes religious experience with a “the hermeneutic of suspicion.” Ricoeur understands “interpretation” not as a restoration of meaning but as an “exercise of suspicion.” If we apply Ricoeur’s hermeneutic of suspicion to Christian worship, we might more clearly see how participants’ emotional intensity and interests are magnified by ritual performance. We need to be critical about how the liturgy itself operates as a medium of socialization: that is, critical reflection upon the liturgy itself. The liturgy could be conceived as a form of consciousness-raising, hence as an exercise in critical praxis. Liturgy allows biased social values to flourish when it loses its critical self-reflection, when the ecclesiastical system and discipline in liturgy continues to “socialize” its congregation in a construct which permits things to remain as they are. This is why we need examine unconscious motives, assumptions, prejudices and judgments, turning our attention to the vested interests, political implications, inherent contradictions, or dissonant values by bringing ethical, moral or aesthetic standards to bear upon them to render overt the way rites negotiate and utilize power. We need to approach the ritual experience critically and suspiciously in order that its social effects and implications may be exposed, and so that our own convictions do not mask the truth which is supposed to be conveyed in worship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과 인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