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 사상의 구현 관점에서 바라 본 태권도 정신 (The Spirit of Bara Martial Art from the Viewpoint of the Implementation of Eastern Traditional Thought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2.06
23P 미리보기
전통 사상의 구현 관점에서 바라 본 태권도 정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22권 / 119 ~ 141페이지
    · 저자명 : 전병술, 노영선

    초록

    서양에서는 기본적으로 심신이원론 구도 하에 전통적으로 무술은 주로 정신 영역 밖의 격투기 개념으로 이해되어왔다. 하지만 동양에서는 심신일여(心身一如) 관념 하에, 무술을 정신영역 밖의 몸만의 활동으로 보지 않고, 무술 안에 정신을 녹여 들이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예컨대 『대학』의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는 말 가운데 ‘수신’에서의 ‘신(身)’은 단순한 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몸과 정신의 융합체로서의 개인을 의미한다. 나아가 ‘신’은 개인적 수양의 주체인 동시에 사회적 실천의 주체이다. 이 점에서 무술인에게 우리의 전통적인 사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실천적 주체로서의 책임이 요구된다. 자타가 공인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무술인 태권도에도 당연히 우리 고유의 전통사상이 녹아들어가 있고, 태권도인들의 사회적 실천에 대한 책임감 또한 교육이나 국제적 교류 등 다방면에서 표현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사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태권도에 융합되어 있는지, 중국이나 일본 등 이웃나라 무술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답하기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삼국 모두 같은 유교문화권에 속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며, 각 나라의 기격술이나 품새에 녹아들어가 있는 전통사상을 명확하게 드러내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몸은 정신 표현의 수단인 동시에 몸의 수련을 통해 인격을 고양할 수 있다는 일여(一如)적 관념을 바탕으로 삼고, 태권도에 융화되어 있는 전통사상을 되새기고 태권도인이 응당 갖추어야 할 자세를 알아보았다. ‘태권도 5대 정신’은 유교사회에서 인간다운 삶을 지탱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강조해 온 덕목인데, 이를 태권도 정신에 적용하여 태권도인이라면 응당 지녀야 할 덕목으로 설정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련을 통하여 몸과 마음을 닦고 이를 바탕으로 건전한 사회의 질서와 조화 유지에 동참하여 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책임을 다 할 수 있는 바탕이 태권도 정신에 깃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겨루기에 치우쳐 있는 태권도 수련에 있어서 동양사상의 전통인 ‘심신일여(心身一如)’ 사유의 바탕 위에 정신적 영역의 수련도 강화해서 정신과 육체를 함께 아우르는 참된 수련이 되도록 해야 한다.

    영어초록

    In the West, martial arts have traditionally been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fighting skills outside the spiritual realm under the frame of mind body dualism. In the East advocating the idea that body and mind are one, however, martial arts have not been considered bodily activities outside the spiritual realm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melt spirit into martial arts. For example, in the phrase ‘Susin Jega Chiguk Pyeongcheonha’(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discipline the own body, manage the family, govern the nation, and rule the world) in Daxue(大學), ‘Sin (身)’ does not simply means the physical body but is a person as the unity of body and mind. Furthermore, ‘Sin’ is the subject of personal discipline and, at the same time, the subject of social practice. In this sense, martial artists are demanded to have responsibility as a practical subject based on the right understanding of our traditional thoughts. Taekwondo, which is widely admitted as the Korean representative traditional martial art, is also imbued with Korean traditional thoughts, and taekwondo people’s responsibility for social practice is also expressed in diverse areas including education and international exchange. However, it is not easy to answer the questions of specifically how our traditional thoughts are fused into taekwondo and w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aekwondo have in comparison with martial arts in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It is because all the three countries belong to the same cultural region of Confucianism, and it is not easy to identify traditional thoughts melted in martial techniques or styles in each country. This study reviewed traditional thoughts fused into taekwondo and discussed attitudes that taekwondo people should assume based on the ideas that the body is a means to express spirits and one’s character can be cultivated through physical trai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Kukkiwon’s explanation about ‘taekwondo spirit’ as a traditional thought melted in taekwondo was merely a list of word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raditional thoughts. This is not helpful to establish the uniqueness of taekwondo, and can be an obstacle to the globalization of taekwondo. Accordingly, further in depth research is required on the spirit of taekwon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