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의 사회개혁론을 통해서 본 복지국가 이념 (A Ideology of Social Welfare in the Theory of Social Reform in Yulgok)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0.09
28P 미리보기
율곡의 사회개혁론을 통해서 본 복지국가 이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42권 / 69 ~ 96페이지
    · 저자명 : 이선경

    초록

    19세기말~20세기 초반, 하층민들이 겪어야 하는 자본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소극적 방책에서부터 출발한 복지개념은 끊임없이 변화발전하면서 이상사회를 향한 인류의 염원을 실현해가고 있다. 아직 어린이 단계에서 성장하고 있는 한국의 복지는 이제 인문사회적 역량을 기울여 한국사회에 보다 적합한 복지의 이념과 모델을 연구해야할 시점이다.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추구한 이상사회의 이념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사회개혁의 방안들을 고찰하는 일은 한국인의 의식 심층에 자리하고 있는 전통문화와 지적 인프라를 재발굴하고, 질높은 인문가치를 담아내는 복지의 개념을 모색하는 자산이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율곡이 지향한 대동(大同)사회를 복지국가의 이념에 견주어 보고, 그 특징을 ‘인륜적 복지사회’로 명명한다. 율곡에 있어 대동은 인문(人文)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인문이 구비됨으로써 비로소 대동으로 돌아갈 수 있는 것이며, 진정한 대동사회는 의식주의 해결뿐 아니라 개개인이 자신의 명덕(明德)을 밝힐 수 있는 사회,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여 예양(禮讓)으로 대하는 사회라 할 수 있다. 율곡이 추구한 왕도(王道)정치, 언로의 개방, 향약의 활성화 등은 모두 이러한 인륜적 복지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이며, 율곡은 이를 실현가능한 목표로 확신한다. 율곡을 통해서 도출할 수 있는 ‘인륜적 복지사회’는 유학이 오늘의 복지국가 이념의 창출에 건의할 수 있는 시의성(時宜性) 있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welfare emerged as a passive measure to overcome the evils of capitalism that the lower class had to suffer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o this day, however, the concept of welfare is constantly changing and developing, realizing mankind's desire for an ideal society. The level of welfare in Korea is still only in the child stage, and in order to grow the nation's welfare in the future, the ideology and model of welfare that is more suitable for Korean society need to be studied.
    To this end, the study will examine the ideology of the ideal society pursued by Yulgok[栗谷] Yi Yi[李珥] and the ways of social reform to achieve it. These studies will help rediscover traditional culture and intellectual infrastructure located in the depths of Korean consciousness, and it will greatly help to explore the concept of welfare accompanied by high-quality humanistic values.
    In this paper, the society of Great harmony[大同] that Yulgok aimed for is compared to the ideology of the welfare state, and its features are named "humanitarian welfare society." Yulgok's Great harmony[大同] concept is not about excluding the humanities, but about being able to return to Great harmony[大同] only when it is equipped with humanities.
    A true Great harmony society is a one in which all members of society do not suffer from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furthermore, individuals treat each other with respect for each other by cultivating their own virtues. Yulgok's pursuit Wang-Do[王道], freedom of speech,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are all efforts to realize this humane welfare society, and Yulgok is convinced that this is a feasible goal. The "humanitarian welfare society" is a timely concept that Confucianism can suggest in the creation of today's social welfare id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