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음악 문헌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종묘악장의 추이 (A Study on the Change of Jongmyo Akjang in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Music Literatur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4.04
30P 미리보기
음악 문헌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종묘악장의 추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51호 / 220 ~ 249페이지
    · 저자명 : 이정희

    초록

    宗廟樂章은 종묘 제향 때 樂人이 부르는 노래이다. 악장을 매개로 神과 感通할 수 있다고 여겼기에, 왕실에서 이를 중요시했다. 그러나 임란 후 종묘악장은 극심한 혼란에 휩싸였다. 첨입된 텍스트와 연주 현장의 열악함 때문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인조가 중광장을 첨입했던 사건과 전쟁의 후유증으로 인해 악기가 소실되고 악인이 흩어졌던 당대의 현실에 기반한다. 국왕과 신료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고, 그 일환으로 문헌을 편찬했다. 이러한 서적들은 관료나 악인들이 참고하고 때로는 상용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책들이 숙종대의 『악원고사』 • 『종묘의궤』 • 『악장가사』, 영조대의 『대악후보』 • 『국조악장』, 정조대의 『종묘악장』 • 『국조시악』이었다. 이를 통해 종묘악장을 정리해 나가던 시기별 특징과 추이를 가늠해 보았다. 즉, 혼잡했던 중광장의 현실과 악인 교육을 위해 노력하던 상황, 정리된 중광장을 공시했단 용단성, 악장 전문 책자의 중요성을 인지시킴과 동시에 아속악으로 형성된 종묘악장 역사의 전체상을 드러낸 안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대인들의 고민과 해법이 구체화 된 음악 문헌에는 국왕과 신료들의 고뇌, 지혜, 통찰이 담겨 있었다. 이들의 노력은 종묘악장이 현재까지 존속할 수 있는 저력의 근간이 되었다.

    영어초록

    Jongmyo Akjang is a song performed by musicians during the ritual at Jongmyo (the Royal Ancestral Shrine). In Eastern tradition, music was seen as a conduit for communication with gods and spirits. This belief was deeply ingrained in the practices at Jongmyo, where Akjang was considered a means of connecting with the ancestral deities of the royal lineage. As a result, successive kings held great reverence for Akjang, considering it an indispensable component of the Jongmyo ritual. Following the Imjin War, Jongmyo Akjang faced a period of crisis attributed to additional textual elements and poor condition of performance venues. Despite these challenges, both the kings and their subjects persisted in finding solutions, compiling texts to preserve the tradition. Through the musical literature of late Joseon, we can gain insight into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evolving trends of Jongmyo Akjang over time. These texts offer a tangible record of the concerns and remedies sought by those striving to navigate through the crisis.
    The musical materials exam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Akwon Gosa, Jongmyo Uigwe, Akjang Gasa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Daeak Hubo, Gukjo Akjang in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Jongmyo Akjang, Gukjo Siak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Through these sources, insights were gained into various aspects: the perplexity arising from the introduction of a new song, Junggwang (重光);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s prompting the creation of an instructional booklet for Akjang transmission; the strategic organization of Junggwang by King Yeongjo; and the discerning historical summation of Jongmyo Akjang by King Jeongjo. It is evident that their collective endeavors laid the groundwork for the enduring legacy of Jongmyo Akj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