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의 민족정책 (A Study on Tie Ethnic Policy of Qing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Jehol Dia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2.01
28P 미리보기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의 민족정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32호 / 335 ~ 362페이지
    · 저자명 : 진빙빙, 학군봉

    초록

    민족문제는 예로부터 다민족 국가의 중요한 문제로서 민족문제 처리의 적절성 여부는 민족의 민심과 직결된다. 청나라의 민족정책은 중국고대사회 민족정책의 중요한 부분으로 민족사무관리의 가장 대표적인 성과이자 각 민족의 정치적 지혜가 모인 결정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청나라의 민족정책은 시대와 사회발전의 산물로서 시대성, 민족성, 혁신성 및 실효성의 특징이 뚜렷하다. 그러므로 청나라의 민족정책을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역사발전의 법칙을 밝히고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민족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고양함은 물론 중화민족의 정신과 지혜도 배울 수 있다. 청나라 정부가 실시한 전면적이고 종합적인 소수민족 관리정책으로 다민족국가들은 비교적 오랜 시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국면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비교적 우호적인 “扶藩字小(번속국을 아끼고 보살핌)”라는 민족정책은 시행되었다. 당시 청과 조선은 자주 사신을 파견하여 양국의 우호관계를 유지하였다. 특히 조선의 사신들은 중국의 사회모습을 살피고 이를 시문의 형식으로 남겨 기록하였는데 그중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연암 박지원의『열하일기』를 들 수 있다. 『열하일기』는 박지원이 정조4년(1780) 청나라를 두 달여간 목격한 뒤 쓴 일기와 여러 가지의 견문을 수록하여 작성한 것이다. 『열하일기』에는 18세기 중국의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의 사회발전 양상을 기술하고 있다. 이 작품을 당시 중국사회 모습을 기록한“백가전서(百家全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나라가 1644년 중원(中原)에 들어와서 한족과 다른 민족을 지배하기 시작한다. 청나라의 통치자는 서로 다른 민족 간에"各得其治(각자의 자리에서 행하는 자치관리)"를 기반으로 국가의 정치통일을 고도로 이룩하고 장기적인 사회 안정을 실현했다. 본 논문은 청나라가 실행하였던 민족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당시 각 민족 간의 교류와 융합을 살펴보면서, 나아가 당시 조선학자들이 18세기 중국의 민족정책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Ethnicity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issue in multi-ethnic countries, and whether it can be handled properly is directly related to the hearts and minds of the people. As an important part of the ethnic policy in ancient Chinese society, the national policy of the Qing Dynasty is not only the most representative achievement in the management of ethnic affairs, but also the crystallization of the political wisdom of all ethnic groups. In addition, as a product of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and society, the ethnic policies of the Qing dynasty were distinctly contemporary, nationalistic, innovative and effective. Therefore, a systematic study of the ethnic policies of the Qing Dynasty will not only clarify and grasp the laws of historical development, inherit and promote the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of all ethnic groups, but also learn the spiri tand wisdom of the Chinese nation. The Qing government implemented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policy of minority management, so that the multi-ethnic state remained relatively stable for a long time. Inaddition, the foreign policy was relatively friendly:" support the vassalstate(扶藩字小)". At that time, the Qing Dynasty and Joseon often sent their ambassadors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Especially, the Joseon envoys observed Chinese society and recorded it in the form of poems and article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is Park Ji won's "JeholDiary". The Jehol Diary(《热河日记》)contains the diary and various insights of Park Ji won(朴趾源) during his two-month stay in Yan Dynasty in 1780, thefour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The Jehol Diary describes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na in the 18th century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is work is called an encyclopedia reflecting the face of Chinese society at that time. The Qing Dynasty entered the Central Plains in 1644 and began to rule the Han and other ethnic groups. The rulers of the Qing dynasty achieved a high degree of political unity and long-term social stability based on the "rule of each nationality"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 This paper focuses on the ethnic policies implemented by the Qing Dynasty, observes the exchanges and integration of various ethnic groups at the time, and analyzes how Korean scholars understood and perceived Chinese ethnic policies in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