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초 國行水陸齋를 통해본 밀교사상 연구 (Esoteric Buddhism Thoughts Examined through the State-led Suryukja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9.09
36P 미리보기
조선 초 國行水陸齋를 통해본 밀교사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1호 / 215 ~ 250페이지
    · 저자명 : 이기운

    초록

    조선 초기 수륙재는 개인의 추천(追薦)을 기원하는 개인적인 수륙재와 국가 주도의 국행수륙재(國行水陸齋)가 설행되었다. 이중에서도 국행수륙재는 국가가 주도하여 설행하므로 주로 왕실의 변란이나 나라의 전란으로 인한 생사와 관계있는 자들을 천도(薦度)하거나, 백성들의 질병 및 각종 자연재해를 구제하기 위한 의례였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조선초기에는 국행수륙재가 개인적인 수륙재보다 많이 거행되었고, 후기에는 수륙재 자체도 대부분 줄어서 사찰중심의 개인적인 수륙재로 바뀌고 있다. 국행수륙재는 국가가 시행하기 때문에 왕이나 왕으로부터 위임받은 관리들이 실제로 담당하였다. 이때 정해진 소의경전은 없지만 다라니를 포함한 밀교경전에 의하여 수륙의문(水陸儀文)을 지어 사용하였다. 수륙재에는 이들 수륙의문에 들어 있는 진언과 다양한 작법(作法)으로 구성되어, 가지(加持)에 의해 재난으로부터 구제하도록 했다. 이와 같이 조선 초기 국행수륙재는 그 형식과 내용에서 밀교의례와 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조선 초 밀교는 고려대와 같은 일상적인 도량(道場)이나 소재(消災) 등의 의식이 많이 줄어들었다. 그렇지만 국행수륙재와 같은 대중적인 성격을 띤 불교 행사는 오히려 성행하면서, 소재 도량 같은 밀교 신행들이 적지 않게 설행되었다. 조선을 창업한 태조는 불교에 대한 깊은 신불심으로 현교(顯敎) 뿐만 아니라, 밀교(密敎)의 여러 가지 신행을 설행하였다. 수륙재 외에도 공작재(孔雀齋)와 각종 소재도량(消災道場)과 문두루도량(文豆婁道場) 사천왕도량(四天王道場) 제석도량(帝釋道場) 등의 밀교도량 및 밀교 사찰에 대한 불사가 행해져서 조선초기 밀교신행에 큰 영향을 끼쳤다.
    국행수륙재는 억불의 시대 조선에서 대부분의 법회와 도량이 폐지되거나 위축된 가운데, 이것만이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법률로 제정되어 국가의 지원을 받고 국가주도로 설행되어 전승된 불교의례이다. 수륙재는 개인 신행으로부터 공공목적의 신행에 이르는 폭넓은 포용성을 지니고 있어서, 조선 초기 불교신행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영어초록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wo types of Suryukjae (水陸齋) were implemented: the personal one to wish the dead to rest in peace and the state-led one. Because the latter was carried out on the necessity of the state-level ceremony for consoling the spirit of the deceased, the contents were to wish the dead who were related to the royal family and the wars, uprisings, or rise and fall of the state to get to the Land of Bliss, or to relieve the people from diseases and natural disasters.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in the early dynasty the state-led Suryukjae was implemented more than the personal one, but in the late dynasty Suryukjae itself considerably declined, turning into the temple-based personal one. The state-led Suryukjae, which was implemented by the state, was actually set up by kings or high officials delegated by them. Suryukjae did not have a fixed Souigyeongjeon (which was the main text of a Buddhist school), but the water-and-land ceremonial mantra was produced, based on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including Dharani. Suryukjae consisted of the holy words of the mantra and various writing methods, and relieved disasters by Adhisthana (or miraculous power of the Buddha). In these ways, it was based on esoteric Buddhism rituals and thoughts in its form and conten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soteric Buddhism significantly reduced ordinary Bodhi-mandalas and disaster-relief rituals, unlike in the Goryeo Dynasty. However, public Buddhist services like the state-led Suryukjae were rather prevalent, and faith practices of esoteric Buddhism of disaster-relief Bodhi-mandalas were carried out considerably more due to faith practices of several kings who liked Buddhism. King Taejo, the founder of Joseon, influenced later generations by implementing faith practices in diverse areas of both exoteric and esoteric Buddhism with a new Buddha-mind. In particular, his deep interest in esoteric Buddhism made Buddhist services and Bodhi-mandalas last during the period of his reign. Various types of Suryukjae based on esoteric Buddhism thoughts were performed as the state-led form. In addition, Gongjakjae (孔雀齋), Bodhi-mandalas related to a variety of disaster relief, Munduru (文豆婁), the four maharajas (or four fearful looking guardians of the heavenly king) and Jeseok (帝釋), services for esoteric Buddhist temples were implemented. This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faith practices of esoteric Buddhism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in which Buddhism was oppressed and most of Buddhist services and Bodhi-mandalas were abolished or shrunk, Suryukjae was the only Buddhist ceremony which was legalized in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and supported and implemented by the state. It had a wide inclusiveness ranging from personal faith practices to public ones, and thus played a leading role in Buddhist faith practic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