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戶籍 관련 자료를 통해 본 三國時期의 戶籍制度 (A Study on the Registrar System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the Historical Data of the Household Register)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9.12
22P 미리보기
戶籍 관련 자료를 통해 본 三國時期의 戶籍制度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23호 / 85 ~ 106페이지
    · 저자명 : 김창석

    초록

    고구려의 「廣開土大王陵碑」(414년)에 王陵을 守護할 ‘烟戶’의 내역이 열거되어 있다. 「集安高句麗碑」(광개토대왕대 건립 추정)에 보이는 ‘名數’는 고구려에서 늦어도 광개토대왕 때 호적 또는 名籍이 작성되었음을 보여준다. 고구려 호적제의 起源은 고대 中國에서 찾아진다. 그러나 古朝鮮의 犯禁八條, 夫餘의 法俗에 나타나는 戶口 파악의 전통이 그 바탕에 깔려있었다고 보인다.
    百濟에서는 늦어도 漢城期 末인 5세기 중반에는 호적이 존재했다고 보인다. 6세기 초의 武寧王代가 되면 사료에 구체적인 戶의 숫자가 등장한다. 武王 11년(610) 무렵 작성된 羅州 伏岩里 木簡 2를 통해서 戶 가운데는 擴大家族이 있었고, 點口部와 같은 백제 官府가 연령등급을 이용하여 人口를 장악했음을 알 수 있다. 扶餘 宮南池에서 출토된 ‘西部後巷’銘 木簡은 徭役徵發 臺帳의 일부라고 보인다. 이는 戶籍資料를 기초로 하여 그 일부를 抽出한 것이다.
    新羅는 4세기 중엽~5세기 중엽 고구려의 통제권 아래 있으면서 호적제를 비롯한 여러 선진문물과 제도를 고구려로부터 수용했다. 그러나 5세기 중반 이후는 百濟의 호적제의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6세기가 되면 점차 연령등급을 부여하는 등 주민을 정교하게 파악해나갔다. 이를 바탕으로 城山山城 木簡에 나타나듯 6세기 후반에는 수취 대상자를 개인별로 확정할 수 있었다.
    7세기 전반 무렵에는 신라에 戶等制가 실시되어 호적에 호등이 표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호등을 정하기 위한 근거 자료가 된 가옥, 가축, 곡물, 토지 면적에 관한 정보도 점차 호적에 기재되었으리라 보인다. 또 『삼국사기』 열전을 보면, 7세기 무렵에는 지배층의 호적에 호주의 조상에 관한 사항이 기록되고 있었다고 보인다. 編籍의 방식은 本籍地가 기준이 되었다. 본적지는 호주의 출신지이자 현재 거주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호주가 婚姻이나 申告를 통해 합법적으로 이주하여 정착한 경우는 이주한 지역에 편적되었다. 그러나 地方官으로 파견되는 경우는 왕경의 본적이 유지되었다.

    영어초록

    In Koguryeo’s Gwangaeto Stele(414), the details of dwelling unit are listed. The “名數” shown in Jian Koguryeo Stele shows that a family registry was created during King Gwanggaeto’s reign at the latest in Koguryeo. The origin of Koguryeo’s family registry system is found in ancient China. However, it seems that the tradition of grasping population in Old-Choseon and Buyeo was based on that.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at the latest, the family register appeared in Baekje. In the early 6th century, specific numbers of dwelling unit appear in the reign of King Munyeong. A wooden tally unearthed from Boggam-ri, Naju(610) indicates that extended family existed, while an administrative office, such as 點口部, took control of population using the age grade.
    Silla accepted from Koguryeo a number of advanced culture and institutions, including the family registry system. However, after the mid-5th century, the effects from Baekje should also be considered. By the 6th century, the residents had been identified with a sophisticated way of identifying them by gradually granting them an age rating. Based on this, as shown in wooden tallies from Seongsan Mountain Fortress 城山山城, Haman, in the latter half of the 6th century, individual tax-bearers could be confi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