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신여성(플래퍼)의재현 양상과 소비자본주의 (Representation of New Woman(flapper) and consumer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07.03
28P 미리보기
미국 신여성(플래퍼)의재현 양상과 소비자본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23권 / 1호 / 103 ~ 130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숙

    초록

    본 연구는 미국 신여성(플래퍼)의 한국적 수용 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로 미국의 플래퍼를 연구하였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신여성 등장은 전 지구적인 현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근대화 단계에 있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신여성이 등장한 것은 신여성의 등장과 근대화 및 소비자본주의의 발달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플래퍼로 알려진 미국 신여성의 등장은 1차 세계 대전 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일반에게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1차 대전 종전 직후부터 1920년대로 추정되며 절정기는 1920년대 중반으로 추정되고 있다. 1920년대는 미국 역사에서 여러 모로 의미 있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920년대는 1차 대전 후 이상주의에 대한 환상이 깨어진 잃어버린 세대의 시대였으며, 이상주의의 상실로 인해 새로운 가치 추구의 징후가 나타난 시기였다. 대다수의 미국인들은 가치관의 혼란과 미래에 대한 신념의 상실로 관심사를 물질적인 것으로 돌렸고, 그러한 경향은 경제적 번영과 맞물려서 소비문화의 확산이라는 현상을 낳게 되었고, 동시에 즐거움의 추구가 시대의 복음이 되었다. 바로 이 시기에 당시로는 파격적이라고 할 만큼 과감한 모습의 플래퍼가 등장하였다.
    플래퍼는 등장 직후부터 보수주의자들과 기득권층의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래퍼의 모습은 많은 여성들에게 확산되었다. 이러한 플래퍼의 확산은 당시대인들을 비롯해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이들에 대한 연구는 여성의 공적 영역으로의 진출 그리고 여성 해방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가 하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플래퍼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 둘로 나누어졌고, 이들이 여성의 정치적 권익 향상에 기여하였는가를 기준으로 부정적인 평가가 나오거나, 이들이 여성의 영역에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과 남성들이 강요한 도덕성에 항거하였다는 점을 근거로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기도 하였다. 그러나 당시는 자본주의적 소비문화가 발달한 시기였고, 플래퍼에 대한 평가는 단순히 정치적 권익향상과 같은 공적 영역에서의 기여를 기준으로 평가하기보다는 보다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본주의라는 큰 틀안에서 여성의 역할 변화와 소비문화의 주체로서의 그들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즉 플래퍼가 모더니티의 상징으로서 탈 전통적이고 자유로우며 대중적인 새로운 문화적 행위자로서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조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1장에서는 당시 널리 확산된 플래퍼의 모습과 행동 양식을 전반적으로 다루었고, 이들의 확산 정도와 양상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당시의 경제적 상황, 특히 소비자본주의의 발달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미혼 혹은 기혼의 중간계층 여성들의 생활 방식, 직장 여성들의 경제 활동 상황, 자유로운 성 담론의 확산 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전반적인 시대배경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3장에서는 플래퍼의 출현과 소비자본주의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 의상, 화장품, 단발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소비자본주의의 발달이 플래퍼적 패션을 확산시키고 대중화하는데 기여한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변화는 여성들의 의식 변화와 그러한 의상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와 부합하여 가능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즉 플래퍼는 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른 소비주의의 물결에 휩쓸렸다기보다는 소비문화의 적극적 수용자로서의 입장을 취하였고, 소비문화의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주도적인 위치에서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능동적 소비자였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즉 플래퍼는 모더니티의 상징이었으며 모더니티의 추진자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study American new woman(flapper) as a preliminary study to examine how Korean new woman accepted American new women's way of life. At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re appeared new woman all over the country like a globalized phenomenon. As new woman appeared in most of the countries at the stage of modernization and consumerism it seemed as if there is some relationship among modernization, new woman and consumerism.
    In America new woman known as flapper was presumed to appear before the First World War. Their appearance seemed to spread to many women between after the First World War and 1920s, and the climax of its proliferation seemed to be in the middle of 1920s.
    Right after they appeared they were criticized bitterly by conservatives and many ordinary people. Nevertheless, their appearance spreaded to many women widely. This phenomenon interested many scholars including their contemporaries, with the result of the affirmative and negative evalution. The reason for the negative evaluation was that flappers did no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women's political right and for the affirmative evaluation hey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women's sphere and they protested against the morals enforced by men.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examine flappers in a synthetic approach instead of evaluating flappers in a limit to the contribution of public sphere. At that time it was economically prosperous and consumerism was bloomi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change of role and their role as an active consumer in the grand frame of consumerism and capitalism.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flappers as a symbol of modernity free from tradition and a popular role model as an active participant in a society of consumerism.
    In the first chapter, I examined flappers' appearance and their way of life and behaviors and the degree of their spread. In the second chapter, I focused on 1920s' economic situation and the influence of development of consumerism to women,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or unmarried middle class women and discourse of sex. In the third chapter, I examined a correlation of flappers and consumerism focusing on flappers' clothes, cosmetics and short hair. As a result I concluded that consumerism contributed spreading and popularizing flappers' fashion but it could not be possible unless women were ready to accept flappers' fashion and flappers' way of life. In other words, as flappers' fashion conformed women's desire it could be spreaded widely. Therefore, I could safely say that flappers were not only the symbol of modernity but also the launchers of moder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