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단재를 중심으로 본 한설야의 <열풍>-한설야의 <열풍>論 (A Study on Han-Sul-Ya’s “Yeul-Poong(熱風)” in terms of Shin-Chae-Ho)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9.06
39P 미리보기
단재를 중심으로 본 한설야의 &lt;열풍&gt;-한설야의 &lt;열풍&gt;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38호 / 107 ~ 145페이지
    · 저자명 : 이경재

    초록

    이 논문은 한설야의 <열풍>(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8)을 학계에 소개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특히 단재와의 관련 속에서 작품의 의미를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설야 문학의 기원을 밝히는데 작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설야의 1920년 무렵 북경체험을 담고 있는 <열풍>은, 일제말인 1944년에 작가의 고향인 함흥에서 쓰여져 발표되지 않다가, 평양에서 1958년에 발표되었다. 따라서 이 작품에는 1920년, 1944년, 1958년의 한설야가 삼중으로 겹쳐 있다. 서사 내용이나 표현 형식 그리고 40년대 북경기행 수필들과의 비교를 통해 볼 때, 1944년의 한설야보다는 1958년의 한설야가 서술자아로서 더욱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성장소설이라 볼 수 있는 <열풍>의 중심에는 손빈의 ‘민족적 사회주의’가 놓여 있다. 손빈은 신채호를 모델로 하여 창조된 인물이다. 이 작품에서 손빈이 지니는 영향력은 절대적이어서, 작품의 주제와 구성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손빈을 신채호와 등치시키는 것은 조금 성급해 보인다. 손빈은 1920년 무렵의 신채호와는 다른 여러 가지 특징을 갖기 때문이다. 이 시기 신채호는 <열풍>에서처럼 분명한 공산주의자라고 볼 수 없다. 결정적으로 <열풍>의 손빈은 1958년 한설야가 지녔던 분단현실에 대한 평양중심주의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
    <열풍>의 배경이 되는 북경은 한설야를 이해하는데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1920년대 북경은 외교론을 지향하는 사람들의 주요 거점이었던 상해와는 차별적인 공간이었다. 북경에 존재하던 독립 운동가들은 다양한 분파 속에서도 반임정과 무장투쟁 노선만은 공유했다. 특히 <열풍>의 사상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는 신채호는 반이승만 반임정 노선의 선봉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북경은 좌파 성향의 인텔리들이 활발하게 활동하던 무대이기도 했다. 이러한 사상적 지향점은 이후 한설야 문학에 변치 않는 중핵으로 남게 된다. 해방 이후 한설야 소설에 나타난 강력한 반이승만주의는 북한의 지배이데올로기에 영향받은 바 크지만, <열풍>을 통해서 볼 때 그 뿌리가 단재에까지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열풍>의 핵심적 주제의식 중의 하나인 ‘중국과의 연대’도 신채호의 한중연합론과 많은 근친성을 지니고 있다. <열풍>에 나타난 중국인 표상은 식민지 시기 여타의 조선인 지식인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식민주의적 의식과는 거리가 멀다. 또한 조선과 중국이 일제의 침략 앞에 놓여 있는 공동운명체라는 인식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그러한 특징은 1940년에 집중적으로 쓰여진 북경기행산문에서도 발견된다. 이것은 모두 1920년 초에 신채호가 『천고』를 통해 주장한 한중연합론과 흡사하다.
    손빈이라는 압도적인 사상가의 등장으로 인해, 한설야 장편소설의 기본적인 구성방식인 연애관계에도 큰 변화가 일어난다. 식민지 시기 한설야 소설의 연애관계가, 기본적으로 남성 주인공이 여성을 이념적으로 각성시키는 구조였다면, <열풍>에서 상도와 남향은 대등한 층위에 놓인 이념분자로 그려진다. 남성이 여성을 이끈다기 보다는 둘이 모두 이 작품의 사상적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손빈의 제자로서 관계를 유지해간다. 이들의 연애관계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서로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손빈의 이념을 확인하는 과정일 뿐이다.
    <열풍>은 자전적 소설에 존재하는 체험자아와 서술자아 사이의 관계에 있어 서술자아의 힘이 너무나 압도적이다. 이 작품은 성장소설이 갖추어야 할 주인공의 변화와 각성의 과정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유는 상도를 핵심으로 하는 긍정적 주인공들이 처음부터 이념적으로 완벽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서술자아가 과도하게 개입한 결과이다. 상도는 북경에 온 순간부터 다양한 사상가들의 의의와 한계를 분명하게 짚어낼 수 있는 능력의 소유자이다. 그는 중국인에 대하여서도 식민주의와는 무관한 국제주의적 시각을 견지하고 있으며, 민족의식 역시 뚜렷하다. 이러한 민족의식은 계급적 당파성을 견지한 바탕 위에서 성립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여러 가지 미학상의 문제정을 드러내기도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introduce Han-Sul-Ya’s novel “Yeul-Poong”(熱風) and investigated the novel’s meaning in relation to Shin-Chae-Ho. Yeul-Poong, which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Han-Sul-Ya in Peking in 1920’s, was written in 1944 when he was in his hometown “Ham-Heung” and published in Pyeong-Yang in 1958. Therefore this novel shows each characteristic of the author in 1920, 1944 and 1958. In terms of Narrative, style and his Peking travel essays, 1958’s characteristic of the author outweighs 1944’s as a narrating self.
    Yeul-Poong(熱風), a bildungsroman, took “Son-Bin”’s national socialism as its core. Son-Bin in the novel is a character modeled after Shin-Chae-Ho. Son-Bin’s influence on the novel is so absolute that it affects even the theme and structure of the novel. However, Son-Bin is not equivalent of Shin-Chae-Ho because Shin-Chae-Ho at that time was not such a communist as Son-Bin in the novel. Son-Bin shares the view of Han-Sul-Ya “Pyeong-Yang-centricism” regarding the national split.
    Peking is very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of Han-Sul-Ya. Peking was distinguished place from Shanghai where leaders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s with the doctrine of diplomacy was based. The leaders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Peking shared anti-provisional-government and insurgency principles. Especially, Shin-Chae-Ho, who is the thought of Yeul-Poong(熱風), was the brave general that kept anti-Lee-Seung-Man and anti-provisional-government principles. Peking was also a place where left-wingers were active. This aim of the author’s ideology played a key role in his literature consistently.
    The one of the themes of Yeul-Poong(熱風) is the solidarity with China. This theme and Shin-Chae-Ho’s Korea and China Union Assertion have similar characteristic. The representation of Chinese people in the novel is far different from awareness of colonialism which was found in Korean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novel recognized that the interest of Korea and China which was against the invasion of Japan went together. This recognition was also found in his 1904’s Peking travel essays. This could be related to Korea and China Union Assertion advocated by Shin-Chae-Ho in “Chun-Go”.
    Because of Son Bin’s advent, the love-relation of intellectuals, which was one of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s of Han-Sul-Ya’s full length novels, changed greatly. The summarization of relationship of lovers in his novel in Japanese imperialism is that the subject of growth is always women whose awakening is intermediated through men. In contrast, “Sang-do” and “Nam-hyang” in Yeul-Poong(熱風) were depicted as ideologists in equal relationship. They maintain and keep equal relationship as disciples of Son-Bin rather than the man lead the woman. The ultimate goal of love relationship was only to identify the ideology of Son-Bin latent in their insides.
    Yeul-Poong(熱風), an autobiographical novel, has both experiential self and narrating self and narrating self overshadows experiential self. In Yeul-Poong(熱風, the awakening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s is not exposed. The reason is why main characters are ideologically perfect from the beginning. For example, Sang-Do became able to identify the value and limit of different leaders of Independence sine he arrived at China. Ha has right international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His national consciousness contains class partiality. However, these also caused several aesthetic problems in the no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