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본 웰다잉의 조건과 방식 (Conditions and Direction of Well-dying from the viewpoint standing on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of Korean'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8.08
37P 미리보기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본 웰다잉의 조건과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55호 / 7 ~ 43페이지
    · 저자명 : 유권종

    초록

    본 연구는 웰다잉에 관련된 현대 한국 문화의 실상과 그 맥락을 파악하고, 이에 입각하여 진정한 웰다잉을 위한 필요조건을 모색하고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 연구에 이하여 파악된 바에 의하면 죽음과 관련된 문제 영역은 육체적 영역, 사회적 영역, 정신적 영역, 영적 영역 네 가지로 구분되는데, 이 네 가지가 두루 충족되어야 웰다잉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할 때에 관심사는 과연 현대 한국의 문화적 상황은 이를 어떻게 충족시키는가 하는 점이다.
    현대 한국의 웰다잉 관련 문화적 실상과 맥락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향적 접근 방식에 해당하는 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그 진상에 접근하기 위하여 한국갤럽의 여론조사와 질적 연구 방법에 의한 연구가 중요한 판단의 자료를 제공하였다. 분석을 통해서 얻고자 한 내용은 현대 한국인들은 죽음에 대해서 지니는 태도의 성격이었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상향식 접근 방법에 의한 연구들은 죽음에 관한 한국인들의 문화가 종교적 진정성이 감소하고 대신 종교의 영향력이 미치지 못하는 정신적 영역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찰 사실은 이러한 정신적 영역에 대해서 인간의 삶을 건전하고도 거룩한 방향으로 이끌어 주는 역할을 종교 대체적이거나 갱신된 종교의 역할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 하향식 접근방법에 의한 죽음 대비 방법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한국이든 서구든 전통사상으로부터 이상형을 가져오는 것을 잠시 보류하고, 전통이 가치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퀴블러 로스 박사의 입장, 죽음준비교육 내용, 티벳불교의 가르침, 켄 윌버와 그의 아내 트레야의 수기 등을 통해서 살펴본 결과는 죽음을 직시하고 그것을 자신있게 대면하는 방식이 곧 철학적 혹은 종교적 확신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내용이었다. 죽음에 대해 자기 철학 형성하기, 죽음에 대해 종교적으로 해석하기, 켄 윌버의 영원의 철학, 죽음의 과정은 깨달음의 가능성을 증대시킬 이음새라는 사고가 그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철학적 종교적 대비책이며, 그리고 이에 대해 접근하는 방법은 명상이 적절하다는 견해 등이다. 이러한 견해 등은 물론 죽음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의 집약을 통해서 추출된 것이긴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죽음과 관련된 철학적 종교적 전통을 선험적 지혜로 삼아서 추론된 점도 없지 않은 것이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grasp context and situations of Korean's culture related to well-dying, and to seek for and propose a necessary requirement for a true well dying. According to this study, important spheres related to human death are all four; body, society, spirit, and soul. If all conditions asked from these four could be satisfied, then well dying will be realized. That granted, a matter of concern is how Koreans can satisfy them.
    For grasping the context and situation, some bottom-up style approaches are analysed, a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surveys of public opinion by Korean gallup and some qualitative studies for getting real state of Korean's cultural context and situation about well dying.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in the Korean cultural context and situation religious authenticity has reduced and instead another sphere which religious influence cannot touch has increased, and that attitudes inclining toward material values have been increasing so much. This observed facts imply that a renewed religion or something new as an alternation for traditional religion which play a role for leading human lives belonging to this spiritual dimension to the direction of health and sacredness.
    Therefore a discussion about the preparative method for well dying dependent of a top-down style approach is needed. In regard to this ideal types which could be taken from traditional thoughts of Korean or Western are deferred in this paper and the reason why traditional thoughts or ideal types can do valuable roles for well dying in the context of Korean's cultural context is inferred. Attitude of Dr. Kuebler Ross, contents of education for preparing death, teachings of Tibetian Buddhism, and Ken Wilber and his wife's notes during commonly accepting process toward the time of her death told that looking one's death in the eye and meeting the death self-confidently is feasibly get by virtue of a philosophically conviction or a religiously firm belief. Some ideas from them such as constructing a one's own philosophy regarding death, religiously interpreting of death, Ken Wilber's perennial philosophy, Tibetian thinking that death is bridge for increasing possibility of spiritual awakening, etc. should be effective measures, and meditation or contemplation should be another approaching measure to these. Even though these ideas are extracted, of course, from accumulation of long term experiences relating to many people's death,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inferential results according to traditional ideas of philosophy or religion regarding as apriori wis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