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민속학개론서를 통해 본 민속학 (Folklore through the Analysis of Introductory Folklore Textbooks in Chin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6.08
28P 미리보기
중국의 민속학개론서를 통해 본 민속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60호 / 183 ~ 210페이지
    · 저자명 : 정연학

    초록

    이 글은 중국민속학 개론서, 특히 중국 내 4대 민속학개론서라고 할 수 있는 오병안(烏丙安), 장자신(張紫晨), 도립번(陶立璠), 종경문(鐘敬文) 개론서를 중심으로 민속의 분류체계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민속학 개론서의 탄생 배경을 위한 현대시기(1912~1945년) 중국민속학의 사상과 관점 등을 분석하고, 1997년 민속학이 국가2급 학문으로 선정된 이후의 민속학개론서의 발간과 변화 양상 등을 다루었다.
    개론서는 어떤 학문의 이론이 상대적으로 성숙했음을 반영한다. 참신하고 예리한 시각 또는 심도 있는 해석보다 다 같이 수긍할 수 있는 이론 학설과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입문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4대 개론서는 1949년부터 1976년까지 약 30년간 정체된 중국민속학을 다시 일으키는 밑거름이 되었고, 인재양성 및 보급을 통해 1997년 국가가 인정한 학문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일조를 하였다.
    20세기 상반기와 비교할 때, 중국민속학은 맹목적인 모사의 시기를 벗어났으며, 외국의 이론은 참고는 하되 답습하지는 않게 되었다. 또한 본국의 민속자료에 근거한 민속학 이론체계를 수립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비록 현재 4대 개론서가 중국민속학계를 대표하고 있지만, 자라나는 신생 역량에 의해 서로 다른 전문 영역 내의 개론서가 분연히 나오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민속학개론서가 시대의 상황에 맞춰 탄생하리라고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Introduction to Folklore' in China, especially dealing with four major textbooks written by Wubingan(烏丙安), Zhangzichen(張紫晨), Taolifan(陶立璠), and Zhongjingwen(鐘敬文). And I investigate the ideas and perspectives of Chinese folklore in Modern period(1912-1945) for the background in advent of its introductory textbook. Also I analyse the publication and the aspect of transition of the textbook published after folklore had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second-class discipline.
    Introduction reflects one science's theory has grown to maturity relatively. It plays a role when providing convincible theories and contributing to train professional talents further more than just giving a novel and sharp vision or in-depth analysis. The four introductory textbooks mentioned above became the foundation to revitalize Chinese folklore which had been stagnant for about 30years from 1949 to 1976. And by nourishing and suppling the competent persons, these books played a part in establishing folklore as an approved study by China government in 1997.
    Compared to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Chinese folklore has passed from the blind simulation times. It still refers to theories in foreign countries but it never follows them simply. In addition, it has made an effort to construct a theoretical system in folklore based on folk materials in its country. Even though the four texts do not represent the whole folklore academic world of China, Introductions in differently specialized divisions have been published by the growing new capacity. Therefore new Introduction to folklore in China is expected to come into the world following a state of a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