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國樂’ 명칭을 통해 살펴 본 조선시대 음악사상 (The idea of music in Chosun with the name of guka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06
26P 미리보기
‘國樂’ 명칭을 통해 살펴 본 조선시대 음악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25호 / 189 ~ 214페이지
    · 저자명 : 최재목, 안선희

    초록

    이 연구는 국악이라는 명칭이 성립되기 이전인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국악에 대한 명칭과 통감부기 국악의 명칭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고, 국악이라는 명칭을 통해 조선시대 음악사상을 살펴보았다.
    국악이라는 명칭의 근원이 된 향악은 신라에서 가장 먼저 사용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라에서 사용된 향악은 신라에서 창작되거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음악을 뜻하며,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향악의 의미는 여러 지방에서 전승되고 있던 향토음악과 삼국이전 유입된 음악 중 향악화 된 음악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에 전승된 향악은 당악보다도 보다 더 활발하게 고려에 전승되었다. 고려는 이전시대에 사용되던 향악(속악)⋅당악 이외에 아악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조선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용어들은 음악의 유래와 관련이 깊으며, 각각의 의미가 다르게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 이 용어들은 국악의 일부분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국악이라는 용어가 된다. 하지만 조선시대 국악이라는 용어는 흔하게 사용되지는 않았다. 통감부기의 국악 용어는 1906년부터 1910년 통감부의 관제개편으로 인해 재등장하였으며, 해외에서도 사용되어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을 뜻하는 용어로 자리 잡았다.
    조선시대에는 향악⋅당악⋅아악이라는 명칭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국악’이라는 명칭이 쓰인 사례는 많지 않지만 16세기에서 18세기에 사용된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 『중종실록』과 『선조수정실록』⋅『황단증수의』⋅『청음집』⋅『농포문답』에 국악이라는 명칭이 등장하고 있어 실록과 의궤, 문집에서 모두 사용된 용어임을 알 수 있다. 즉, 조선시대 국악이라는 명칭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용어는 아니지만, 실록과 의궤 문집과 같이 다양한 문헌에 등장하고 있어 당시 우리나라의 궁중에서 연행된 음악을 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료들을 바탕으로 비추어 볼 때 조선이라는 나라에서 ‘나라의 음악’을 뜻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당시의 화이사상이나 실학사상이 근간이 되어 현재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how gukak (Korean classical music) was called before the name was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o Goryeo and also during the period of the Residency-General briefly and examine the idea of music in Chosun with the name of gukak.
    Hyangak which laid the ground for the name of gukak was first used during Shilla. Hyangak used in Shilla refers to the music that was created or generally known in Shilla. Hyangak used during the Unified Shilla implied the folk music that was transmitted in several regions of it and also the music that had become hyangak among the kinds of music that had flowed in befor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Hyangak passed down to Goryeo was even more actively transmitted to Goryeo than dangak. In Goryeo, they started used the term of aak other than hyangak (sokak) or dangak that had been used previously, and they continued to be used up to late Chosun. These terms are deeply associated with the origin of music, and each implied different things. From the period of Chosun, these were used as the terms meaning a part of gukak, and they changed to the term of gukak then. But during Chosun, the term of gukak was not very often used. In the period of the Residency-General, the term of gukak reappeared from 1906 until 1910 when the Residency-General performed the reform of government organization, and it was used outside Korea, too, so it came to be positioned as a term referring to Korean traditional music.
    During Chosun, such terms as hyangak, dangak, and aak were often used, and the term of ‘gukak’ was not very often found; however, it was used every now and tern from the 16th until 18th century. From 『Jungjongsilrok』, 『Seonjosujeongsilrok』, 『Hwangdanjeungsuui』, 『Cheongeumjip』, and 『Nongpomundap』, we can find the term of gukak, so we can see that it was a term used in silrok, uigue, and collections of works all. In other words, gukak was not a term generally used during Chosun, but we can see that it meant music played at Court in Chosun as it appears in various literatures such as silrok, uigue, and collections of works.
    Based on the historical materials, we can see that it was used as a term referring to ‘national music’ in Chosun and laid the ground for the thought of Huayi or Silhak then. This is how it has come to be used as a term with the meaning it has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