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文章의 역할을 통해 본 15세기 斯文의 성격 (The character of Sa-Mun(斯文) in 15th century in the point of role of Literary(文章))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7.09
48P 미리보기
文章의 역할을 통해 본 15세기 斯文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27호 / 349 ~ 396페이지
    · 저자명 : 오세현

    초록

    斯文이라는 용어는 공자가 주 문왕의 유산을 계승했다는 자부심을 표현한 용어이다. 문학, 역사, 철학을 아우르는 주나라 문헌 전통의 집대성을 의미한 사문은 유학의 대명사이기도 했다. 현실적으로 사문에 대한 문장의 위상이 매우 중시되었지만, 宋代에 성리학이 정립되며 문장의 역할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함께 덕행에 기반한 도학의 가치가 일부 도학자들에 의해 강조되기 시작했다.
    조선왕조도 개국 직후부터 과거제 시행 과정에서 도학에 기반한 講經 과 문장에 기반한 製述을 두고 鄭道傳과 權近이 상이한 입장을 보였는데, 그 과정에서 국왕 태종은 권근의 입장을 지지하며 정치 현실과 함께 사문을 위해 문장의 역할을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사문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주제 중 하나인 문묘 종사 논의 중에서 권근의 문묘 종사를 주장하는 논의들이 문묘 종사 기준으로 도덕과 함께 문장을 제시하고 있던모습도 15세기 사문의 구성 요소에서 문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중요했는지를 말해준다.
    徐居正은 문장이 사문에 공을 세울 수 있음을 강조한 15세기 후반의대표적 문인이다. 경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그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저술들은 성리학 이념의 국가적 확산을 위한 다양한 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는데 그러한 사업들이 덕행이 아니라 문장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점을 서거정은 강조했다. 金宗直은 이전부터 지속되었던 문장에 대한 관심을 지녔던 동시에 도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 역시 강조했던 인물이다. 김종직에게 확인되는 이러한 두 가지 특징을 기존 연구들은 상반되는것으로 파악했지만, 도학과 문장의 가치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의문제점과 함께 현실적 효용성에 기반한 도학과 문장의 역할을 구분하여살피는 일이 동시에 필요하다. 김종직에 의해 새로 발견된 도학의 특징을 배타적인 것으로 정의하며 비판한 成俔은 당시 사대부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가치 기준으로 문장이 각광 받고 있었음을 증명한다.

    영어초록

    Sa-Mun(斯文) is the word that Confucius(孔子) express the pride of inherit the cultural heritage of King Wén of Zhōu(周文王). Sa-Mun mean the literary tradition putting together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of Zhou Dynasty and also become synonymous with Confucianism.
    Realistically the status of Literary(文章) toward Sa-Mun’s advance was held in great esteem. But Neo-Confucianism was built in Song Dynasty, the negative recognitions on the role of literary appear and some moralizer emphasize the value of ethics.
    Ethics-based explaining the confucian scriptures(講經) and literary-based literary composition show different position in the process of holding a gwageo(科擧) between Jeong Do-jeon(鄭道傳) and Kwon Geun(權近) directly after the establishing Joseon Dynasty. Taejong(太宗) of Joseon support Kwon Geun‘s discussion and emphasize the role of literary toward Sa-Mun’s advance in the reality of politics. Besides the topics most frequently discussed on Sa-Mun is the religious service on the Confucian shrine. The discussion that assert Kwon Geun is the most suitable person about the religious service on the Confucian shrine prove the important role of literary toward Sa-Mun’s advance.
    Seo Geo-jeong(徐居正) is the representative person who emphasize the role of literary toward Sa-Mun’s advance in the late 15th century. He emphasize that the wide knowledge about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various kinds of writings carry out the important role of national spread of Neo-Confucianism. He also emphasize that the decisive role is up to not virtue but literary.
    Kim Jong-jik(金宗直) is the person who has a interest in the value of literary and the value of ethics. Existing research grasp these simultaneously character as directly-opposed feature. But we need to reconsider the problem that make a dichotomous division between ethics and literary. Also we need to partitively look the role of ethics and literary in the point of practical usefulness. Seong Hyun(成俔) who criticize the ethics as the exclusive character prove that then scholar-official(士大夫) was absorbed in the literary and regard the value of literary as a important t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