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구의 타자철학의 흐름에서 본 바흐친의 타자철학 (Bakhtin's philosophy of the other in the flow of the western philosophy of the other)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03
26P 미리보기
서구의 타자철학의 흐름에서 본 바흐친의 타자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어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어노문학 / 27권 / 1호 / 65 ~ 90페이지
    · 저자명 : 김영숙

    초록

    타자철학은 전쟁과 분쟁, 폭력과 억압으로 점철된 역사적 과오에 대한 깊은반성으로 인해 시작된 현대 철학의 한 경향이다. 그러나 타자철학이 어느 날 갑자기 주체 철학의 폐허 위에 돌연히 새로운 출발을 선언하며 등장한 것은 아니다. 칸트 철학에서는 물자체의 존재를 인정하고 윤리적, 미적 기준을 보편화하는 작업을 통해 상호주관성의 단초를 준비하였다면, 실존주의 철학에서는 타자를 나와 동등한 권리를 가진 존재로, 주체의 자유를 보증해주는 존재로 인정함으로써 막연했던 상호주관성의 개념을 보다 체계화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후,현상학적으로 타자 문제에 접근한 후설은 타자는 원초적으로 인식 불가능하지만, ‘감정이입’, ‘사랑’, ‘습성의 인식’을 통해 타자의 내면에 다가서고 그와 소통하며 융합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한편 사르트르는 타자를 인식의 대상으로 파악하는 기존의 모든 접근 방법이유아론적이라고 비판하고 타자를 나의 인식의 지평에서 내려놓고 오히려 나를타자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타자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보다 확실한 방법이라고 보았다. 즉, 나의 ‘시선’이 타자를 향하고 있을 때가 아니라, 타자의 ‘시선’이 나를 향하고 있을 때 비로소 타자의 존재를 확실히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르트르에 이르러 타자에 대한 주체의 인식론적 입장이 철회되고 타자로 인해주체가 존재 가능함을 논의함으로써 본격적인 의미에서의 타자철학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르트르가 타자의 ‘시선’을 통해 타자의 존재를 확실히 하고자 했다면 레비나스는 타자가 힘없는 약자 혹은 이방인의 ‘얼굴’을 통해 자아에게 현현한다고 보았다. 레비나스의 타자는 그 근원을 알 수 없는 수수께끼 같은존재로 신성의 의미를 지니며 신의 또 다른 현시라고 보았다. 따라서 레비나스는 자아는 이렇듯 벌거벗고, 무방비의 또한, 비참하고 연약한 타자를 환대할 윤리적 의무가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데리다는 타자가 선한 이웃일 수도 있지만가장한 적이 될 수도 있고 ‘위증’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며 ‘조건적 환대’를 주장하였다.
    한편, 바흐친의 사유는 타자철학을 미학적 관점에서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서매우 새롭다고 할 수 있다. 바흐친의 미학에서 타자는 ‘작가’로 표현된다. 언어 예술은 말, 내용 그리고 형식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반드시 작품에 예술성과 통일성을 부여하는 작가의 시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존재론적으로 설명하면, 우리의 삶도 미학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타자의 시선이 반드시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타자는 나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재성’을 지닌 존재로서공간적, 시간적, 가치론적, 의미론적 차원에서 나의 존재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렇듯 나의 외부에 ‘고유한’ 위치를 점한 타자가 나와 조우할 수 있는 유일한 매개체는 ‘말’이다. 바흐친은 “작가는 소설의 전 구조를 통해 주인공에 대해말하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과 말을 한다” 고 하였다. 그는 타자의 내면성에 접근하는 길은 그에게 ‘말’을 거는 방법뿐이라고 보았다. 왜냐하면 인간의 내면은타인과 상호 교류할 때만 열리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바흐친은 평생 이 ‘말’의 문제에 천착한 이유이기도 하다. 바흐친은 발화가 이루어질 때 발신자와 수신자 이외에 제 3자 곧, 초수신자가 개입한다고 보았다. 초수신자는 모든 대화를 듣고 이해하지만 반드시 대답하지 않는다. 바흐친은 이 초수신자가 신, 절대적 진리, 인간의 양심, 민중, 역사의 심판, 과학 등일 수 있다고 하여 형이상학적인 논의로 나아가고 있다.
    바흐친의 타자철학은 초기에 보여준 허위적인 타자에 대한 논의가 더 이상진전되지 않았다는 점, 절대 타자 혹은 초수신자의 개념이 매우 초월적이고 형이상학적으로 나타난다는 점, 주체와 작가의 대화가 평면에서 교차될 수 있다고하는 가능성을 합리적이고 명증하게 해석하지 못하며 있다는 점 등 나름의 한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학문적이고 철학적인 타자의 논의를 미학의 관점으로 옮겨 놓음으로써 바흐친이 평소에 이루고자 했던 바 -예술에서 체험하고 이해한 모든 것을 삶으로 옮겨 놓아야 한다- 를 실천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 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영어초록

    begun with reflection on historical mistakes stained with wars and conflicts, violenceand oppression. But Philosophy of the other is not suddenly appear, declaring a newstart on the ruins of philosophy of the subject. Kantian philosophy provided the basisof intersubjectivity by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the other and making ethicaland aesthetic standards common. Existentialists recognized that the other has equalrights with me and ensures the freedom of the subject. After that Husserl approachedthe problem of the other in the view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He thought thatit is impossible for the subject to recognize the other. So the subject should go closerto the inner of the other through empathy, love and recognition of habit.
    Meanwhile Sartre criticized that all existing approaches are solipsistic, because theymake the other into an object of recognition. He thought that it would be better tomake me the target of recognition to distinguish the other's existence. In other words,not when my attention directed to the other, but when the other's gaze is towards me,I can be assure the other's existence. Sartre epistemological perspective of the otherwas withdrawn and philosophy of the other began in earnest. If Sartre wanted to makesure the other's presence through the other's 'sight', Levinas would ensure the presenceof the other through the other's face. For Levinas the other has weak and powerlessface and the subject's identity is established when the subject does ethical theresponsibilities given to him.
    Bakhtin has developed philosophy of the other in the view of aesthetics. In hisaesthetics the other is expressed as an author. Language art is made by combiningwords, contents and forms. But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for the author to give unityand artistic nature to the work. In the ontological aspect it is also necessary to obtainthe aesthetic aspect of the other. The other, as an extrinsic existence allows mypresence in terms of spatial, temporal, semantic and axiological aspect.
    Bakhtin found the medium that connects the subject and the other in words. He told that the author talks with the hero and not say something about the hero. Hethought that the only way to access the other's innerself is to speak to him. Becausea human's innerself opens only when I interact with the other.
    When the word is spoken, in addition to the talker and recipient, the third partyintervenes. This meta-recipient hears and understands all the conversation, but doesn'talways answer. Bakhtin told that this meta-recipient may be a God, absolute truth,human conscience, populace, judgment of history, science and etc.
    Bakhtin's philosophy of the other has following limitations: meta-recipient istranscendental and metaphysical. Bakhtin doesn't explain the possibility that thedialogu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author can intersect in the plain clearly andreasonably. But Bakhtin should be appreciated because he moves the academic,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discussion on the other into the realm of our real life and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어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