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에서 본 “믿음과 사랑의 관계” 재조명 (Reexami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Love from the View of St. Augustine's Theolog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06
37P 미리보기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에서 본 “믿음과 사랑의 관계” 재조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41호 / 121 ~ 157페이지
    · 저자명 : 정홍열

    초록

    아우구스티누스는 로마가톨릭 신학과 종교개혁 신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서방 교회의 교부이다. 그의 사랑론이 로마가톨릭의 구원론에 영향을 주었다면 그의 은혜론은 종교개혁 신학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그의 신학에서 사랑과 믿음은 결코 대립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다.
    오늘날 한국 개신교는 신앙 생활에서 심각한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믿음과 삶의 괴리이다. 종교개혁 신학이 편협한 구원론을 지향할 때, 믿음과 삶은 분리되어 나간다. 이런 위기는 종교개혁 신학의 왜곡된 부작용이라 하겠다. 이 위기를 극복할수 있는 방안으로 이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믿음과 사랑을 연구했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서 믿음과 사랑은 모두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이다. 그에게 문제가 되었던 것은 참 믿음과 거짓 믿음 그리고참 사랑과 거짓 사랑이었다. 참 믿음은 하나님을 향유하는 것(frui)으로 우상숭배는 하나님을 사용하는 것(uti)으로 표현되었고, 마찬가지로 참 사랑은 자애(caritas)로, 잘못된 사랑은 탐욕(cupiditas)으로 소개되었다. 그는 믿음과 사랑의 바른 관계를 언제나 갈 5:6의 “사랑으로역사하는 믿음”에서 보았다. 믿음은 사랑의 시작이며 사랑은 믿음의열매로서 믿음과 사랑은 언제나 구원의 길을 동행한다. 믿음과 사랑은결코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종교개혁의 시기에 그리스도교의 두 진영이 믿음과 사랑의 분리를 위해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을 해석했다면 이제는 믿음과 사랑의화해를 위해 다시 그로부터 배우기를 소망한다.

    영어초록

    Augustinus is the church father who has exercised a decisive influence upon the foundation of both catholic and reformed theology. Has his Agapelogy impacted the formulation of cathjolic Soteriology then his Grace Theology has given a great influence to the reformed theologians as well. However, on no account the theme of love and faith are portrayed as antagonistic. Currently the churches in the Korean reformed circle are facing a serious crisis. And one of the core causes of that is the perilous gap between faith and life. When the reformed theology pursues a shallow Soteriology, faith and life breaks on apart. One may argue that such a critical situation is a side effect of a distorted reformed theology. In light of this, the present paper proposes an Augustinian concept of faith and love as a scheme to tackle the crisis.
    To Augustinus, faith and love are both the gift of God's grace. What has disturbed him was the problem of true and false faith, as well as true and false love. The true faith was explained in terms of delighting God(frui) while the idolatry was utilizing God(uti). Likewise, the true love was presented as an affection(caritas) and the false as an avarice(cupiditas). He always viewed the proper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love in light of Galatians 5:6, “faith working through love.” Faith is the beginning of love and love is the fruit of faith. As such faith and love goes together in the trail of salvation. Faith and love never separates to each other. If there was an attempt during the Reformation period to interpret the Augustinian theology for the sake of a separation between faith and love, now one hopes to relearn from him for the sake of their reconcili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