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고자료를 통해 본 고려후기 성주사의 중건 (Rebuilding of Seongjusa Temple in Late Goryeo Period as Seen Through Archaeological Record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05
40P 미리보기
고고자료를 통해 본 고려후기 성주사의 중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8권 / 1호 / 7 ~ 46페이지
    · 저자명 : 임종태

    초록

    본 논문은 성주사 중건기 가람을 고고학적인 관점에 검토하여 이 당시 조성된 건물의 배치현황과 특징 등을 살펴 성주사가 중건된 시점과 조성배경 등을 추론한 것이다.
    보령에 위치한 성주사지는 통일신라 말기에 낭혜화상 무염대사가 주석하게 되면서 창건된 사찰로 이 무렵 형성된 선종 구산문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이러한 성주사지는 가람 중심부에 대한 조사가 1990년대에 최초 실시된 이후 2000년대 들어 그 주변일대에 대한 추가적인 연차 발굴조사가 실시되면서 대략적인 가람의 변천단계 과정이 고고학적으로 증명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확인된 성주사는 성주사 창건기 가람과 중건기 가람으로 구분이 된다. 여기서 성주사 중건기 가람은 성주사 창건기 가람의 소실로 인해 형성된 가람으로 창건기 가람의 소결 원인은 몽고의 침략으로 인한 화재가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이 된다. 이렇게 화재로 소실된 가람은 즉각적인 재건이 이루어지는데, 그 중심연대는 고고자료를 근거로 1250년 이후인 13C후반기경으로의 추정이 가능하다. 고고학적인 관점에서 중건기 가람의 특징은 기존의 정형화된 건물배치가 붕괴되고 경내에 불전과 주거목적의 건물이 함께 조성되는가 하면, 사역의 경계를 이루는 회랑이 폐기되면서 이를 대체하는 담장시설이 조성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중건기 가람이 조성되는 과정에서 사역 내 생산시설 등이 공존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성주사의 중건을 도운 세력으로는 성주사의 창건기 가람과 혈연적 관계를 맺고 있던 김인문의 후손들이 시주와 같은 경로로 지속적인 後援을 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paper makes inferences about the time and background of the rebuilding of Seongjusa Temple. These inferences were made by studying how the temple buildings were arranged and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at that time, based on examinations of the temple rebuilding process from archaeological perspectives.
    Seongjusa Temple site is located in Boryeong and was established by the Buddhist priest Nanghye (Great Master Muyeom) in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The temple was one of the Nine Mountain Monasteries of the Zen Sect. After the first investigative work on the center of the temple site in the 1990s, the vicinity of the temple site was excavated annually in the 2000s. These excavations confirmed archaeological evidence of the temple site’s transformation.
    The history of Seongjusa Temple is divided into the initial stage and rebuilt stage of the temple. The temple of the rebuilding stage refers to the one that was reconstructed after the loss of the previous one. The cause of the original temple’s destruction is presumed to be a fire during the Mongolian invasion, and the temple was reconstructed immediately after the fire. The reconstruction work is thought to have occurred sometime in the 13th century, after 1250.
    From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rebuilding stage temple lie in the coexistence of the Buddhist shrine and residences, the absence of the earlier standardized placement of buildings, and the replacement of the corridors with walls as borders of the sanctuary. Seongjusa Temple has another unique trait of placing production facilities inside the temple. Those who supported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with such means of continued offerings to the temple are presumed to be the descendants of Kim In-mun, who had ties to the original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