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문기사를 통해 본 한국 배구 응원 변천사 연구 (Study on the Changes of Korean Volleyball’s Cheer Culture through Newspaper Article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3.09
10P 미리보기
신문기사를 통해 본 한국 배구 응원 변천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스포츠학회 / 21권 / 3호 / 733 ~ 742페이지
    · 저자명 : 노현식, 안진규

    초록

    이 연구는 국내의 신문기사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배구응원 변천사를 정리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광복 이후 1950년대에는 지역 연고를 기반으로 하는 일방적 응원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1960년대는 1950년대의 일방적 응원문화가 고스란히 국제대회 경기로 나타났다. 셋째, 1970년대는 좋아하는 선수 팬들의 모임이 플래카드를 동원해 응원하는 팬 응원문화의 서두를 열게 되었다. 넷째, 1980년대는 유행가 가사를 본뜬 격문 응원이 나타났으며, 응원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여 능숙한 몸짓 및 재치있는 구호가 나타난 시기로 치어리더의 전신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1990년대는 애사심을 바탕으로 체계화된 집단응원을 통해 자사 PR과 함께 팀의 승리를 응원하였으며, 오빠 부대의 출현과 함께 재치 격문이 만발하였다. 여섯째, 2000년대는 프로화로 인해 응원 전문가인, 치어리더가 나타났으며, 응원의 공간적 범위가 경기장 밖으로까지 확장되었다. 마지막으로 2010년대는 SNS 등의 온라인을 통해 시공간 제약 없이 팀과 선수를 응원하였으며, 선수의 일상 공유 및 권익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로 확장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history of volleyball cheering in Korea in domestic newspaper articles and to clarify its meaning. Consequentl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n the 1950s after liberation, unilateral and unconditional cheer based on regional associations was the main focus. Second, in the 1960s, the unconditional cheering culture of the 1950s appeared as an international competition. Third, in the 1970s, a group of favorite players' fans mobilized placards to start a fan cheering culture. Fourth, in the 1980s, witty phrase cheering using popular song lyrics appeared, and it was a time when skilled gestures and witty slogans appeared by hiring cheering part-timers, which is considered the predecessor of cheerleaders. Fifth, in the 1990s, the company's PR and the team were supported through systematic collective cheer based on be strongly devoted to one’s company, and with the emergence of the older brother unit, various witty phrases appeared. Sixth, in the 2000s, cheerleaders appeared due to professional volleyball, and the spatial scope of cheering expanded to outside the stadium. Finally, in the 2010s, teams and players were cheered without time and space restrictions through online such as SNS, and it expanded to protect and support the players' daily sharing and rights and intere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스포츠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