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學』解釋을 통해 본 朱子의 格物致知論 (The Study of Zhuzi's Gewuzhizhi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8.12
26P 미리보기
『大學』解釋을 통해 본 朱子의 格物致知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33호 / 359 ~ 384페이지
    · 저자명 : 서근식

    초록

    朱子는 본래 『禮記』3의 43번째 편이었던 「大學」을 독립시켜 『大學章句』로 재편집하였고, 이 과정에서 134字를 보충하였다. 보충한 134字는 格物致知에 관한 것으로 朱子의 이러한 解釋은 후대 학자들이 『大學』을 解釋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朱子는 格物을 天地 사이에 존재하는 事物들의 理를 窮究하는 것으로 解釋하였다. 格物이 事物들의 理를 窮究한다는 의미라면 窮理라는 표현이 보다 적합하다. 그러나, 窮理라고 하지 않고 格物이라고 한 것은 事物의 實體를 얻기 위해서라고 朱子는 주장한다. 이는 格物致知가 虛學이 아닌 實學임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致知는 格物의 과정을 통해 나의 앎이 지극해지는 단계이다. 즉, 致知는 格物을 통해 얻은 지식들을 종합하여 眞知를 구하는 단계이다. 이 眞知는 私意가 개입할 수 없으므로 眞知는 보편적인 앎과 같은 것이 된다.
    格物致知를 통해 양적으로 축적된 것은 豁然貫通을 통해 질적인 변화를 하게 된다. 格物致知가 下學工夫라면 豁然貫通은 上達工夫에 해당되는 것이다. 豁然貫通은 나의 理가 보편적인 理와 하나가 되는 단계로서 내 마음 속의 準則이 보편성을 갖게 되는 단계이다. 즉, 내 마음 속의 準則과 보편적인 準則이 하나가 됨을 의미한다.
    格物致知를 하는 최종 목표는 무엇인가? 格物致知의 최종 목표는 至善에 도달하는 것이다. 格物致知가 至善을 지향하고 있다면 豁然貫通을 통해 얻은 내 마음 속의 보편적 準則 또한 至善이 그 기준이 된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朱子의 格物致知는 認識論의 측면과 倫理的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Making Daxue(『大學』) which was originally the 43rd chapter of Liji(『禮記』) independent, Zhuzi(朱子) had reedited it into Daxuezhangju(『大學章句』) and in this process, he had added 134 letters thereto. Those 134 letters that added were concerned with gewuzhizhi(格物致知) and Zhuzi(朱子)’s such interpretation had made a great deal of contribution to the later interpretations of Daxue(『大學』) conducted by those scholars who followed him in a later age.
    Zhuzi(朱子) had interpreted gewu(格物) as to make a exhaustive study on principles of things or noumena that exist between heaven and earth. If gewu(格物) taking it for granted, denotes thorough investigation of the principles of things, it is considered that qiongli(窮理) is a more appropriate expression. Meanwhile, however, Zhuzi(朱子) argues that the reason for dubbing it gewu(格物), not calling it qiongli(窮理), is to see a thing as it is in itself. This is to emphasize that investigation of things and extension of knowledge gewuzhizhi(格物致知) is shixue(實學), not a xuxue(虛學). Zhizhi(致知) is a step through which my knowledge is being culminating in the most comprehensive and profound fashion. Specifically, Zhizhi(致知) is the phase to seek zhenzhi(眞知) having put together all knowledge gained through gewu(格物). In this true understanding, there is no room for one’s own free will to intervene; zhenzhi(眞知) becomes the same as universal knowledge.
    The things accumulated in quantity through gewuzhizhi(格物致知) are to be changed by means of huoranguantong(豁然貫通). If we put gewuzhizhi(格物致知) as the quests of basic and general subjects, meanwhile, huoranguantong(豁然貫通) corresponds to more profound and sophisticated learning. Huoranguantong(豁然貫通) is a phase in which my principle and the universal principle become unified, and so, this is the phase where the standards in my mind will attain universality. That is to say, this means that the standards in my mind and the universal standards grow into one.
    Then, what is the ultimate purpose of gewuzhizhi(格物致知)? The ultimate purpose of gewuzhizhi(格物致知) is to reach zhishan(至善). If gewuzhizhi(格物致知) seeks zhishan(至善), those universal standards in my mind that attained through huoranguantong(豁然貫通) shall also be the criteria of that zhishan(至善). Viewing it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Zhuzi(朱子)’s gewuzhizhi(格物致知) contains both epistemological and logical asp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