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물분석을 통해서 본 「주생전」의 욕망 연구 (The Desire of Jusaeng- Jeonthrough Delineation Stud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11
25P 미리보기
인물분석을 통해서 본 「주생전」의 욕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시학과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시학과 언어학 / 31호 / 59 ~ 83페이지
    · 저자명 : 박은정

    초록

    「주생전」은 17세기를 전후해 권필이 창작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애정전기소설(愛情傳奇小說)이다. 「주생전」이 창작된 17세기 전후는 급격한 사회변동이 일어났던 시기로 당시의 문학 작품에도 이런 시대적 분위기가 나타난다. 「주생전」은 기존의 전기소설이 가지고 있던 환상성이 약화되고, 현실성이 강화되는 변모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등장인물의 성격에서도 드러난다. 「주생전」의 등장인물은 이런 사회 변화를 잘 포착하고 있다. 따라서 「주생전」의 인물을 분석하는 일은 작품 창작 당시의 인물들의 변화 양상을 살피는 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변화 양상을 살피기 위해 인물 각각의 묘사를 통한 욕망을 분석하고자 했다. 인물 분석은 작품에 제시된 인물묘사를 외양묘사, 내면묘사 그리고 인물에 대한 기본 설명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생, 배도, 선화는 각각 다른 욕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주생은 몰락한 양반의 모습을 보여준다. 입신(立身)을 위한 학문의 길이 좌절되자, 그 욕망은 사회적 욕망이 아니라 개인적 욕망으로 변화된다. 주생은 강호유람을 하던 중 만난 대상에 대해 구애하는 데 집중하여 그의 욕망이 애정을 갈구하는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욕망이 애정을 갈구하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은 선화도 마찬가지다. 명문대가의 여식인 선화는 주생을 만난 순간부터 지속적으로 애정의 욕망을 보인다. 작품 속에서 선화에게 일어나는 욕망은 오직 애정으로만 고정되어 있어, 고전 소설의 평면적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기생의 신분으로 등장하는 배도의 욕망은 이들과는 다르다. 배도의 욕망은 신분상승에 있다. 배도의 욕망이 선화에 대한 질투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보다는 신분상승에 대한 욕망이 더욱 크게 부각된다. 그러므로 배도는 하나의 욕망만을 드러내는 인물이 아니라 다면적 욕망을 드러내는 인물로 그려진다.
    등장인물들의 욕망은 「주생전」 창작 당시의 시대적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 17세기를 전후해 신분에 대한 고정적 관념이 변화되는 상황이 작품 속에 드러나기 때문이다. 특히 배도는 기생의 신분 복원이라는 문제를 제시하는 인물로 당시 사람들 사이에 신분질서가 붕괴되고 있던 현실을 보여준다. 또한 신분상승의 욕망을 통해 기생 신분의 탈피를 보여준 「춘향전」의 전범이 되는 인물로도 보인다. 「주생전」의 배도는 다면적 욕망을 보여주는 인물이라는 측면과 기생의 신분상승 욕망을 보여주는 인물이라는 측면에서 창작 당시의 사회변화를 잘 포착한 인물로 보인다.

    영어초록

    「Jusaeng-Jeon」 is a kind of “romance-fictional biography novel” that is estimated to have created around the 17th century by the Kwon Pil. The 17th century is a time of rapid social change took place when 「Jusaeng-Jeon」 is created around. Trying to estimate the character of the person at the time of Jusaeng make the change work can be found meaning that you can capture in the works.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portrayal of characters, each with their desire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Jusaeng, Baedo and Seonhwa seem to have different desires. Jusaeng shows just the look of the fall of noble man (“Yang-ban”). Rise in the world for the length of the study and frustrated, Jusaeng will sit back and settle for a comfortable life. Hence the desire of Jusaeng appears in the form that crave affection. The desire to appear in a form that crave affection same is true Seonhwa. Baedo’s desire to emerge as identification of a “Geisha” is different from them. Baedo has the desire of upward mobility. The desire of Baedo also appear to envy to the Seonhwa, but is highlighted even more dramatically than the desire for upward mobility. Therefore Baedo is drawn to the figures reveals the multifaceted desire, not the person reveals only one desire.
    The desire of the characters seem closely related to the 「Jusaeng-Jeon」 at the time of creation of contemporary change. In particular Baedo reality show was being status and order collapsed between the person who presents the status as at the time of issue of the restoration “Geisha”. In addition, it seems that people in the typical example of 「Chunhyangjeon」 after a break of a “Geisha” identity through the desire of upward mobility. Baedo of 「Jusaeng- Jeon」 is seen as a good person who captures the creative person at the time of social change in terms of showing the desire of a person upward mobility aspects of “Geisha”, showing the multi-faceted desi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학과 언어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