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기를 통해 본 농촌 여성의 일상과 역할 (Rural Women’s Everyday Life and Roles Described in the Dair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6.11
39P 미리보기
일기를 통해 본 농촌 여성의 일상과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61호 / 41 ~ 79페이지
    · 저자명 : 양흥숙, 공윤경

    초록

    『대천일기』는 부산시 북구 화명동 대천마을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거주하고 있는 윤희수의 일기로서, 1954년부터 현재까지 기록되고 있다. 1950년대 대천마을은 대천천(大川川) 주변에 형성된 논과 밭을 일구던 농민들의 삶터였다. 그러나 대도시에 편입되어 농촌 근대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마을의 경관, 주민 구성 등은 크게 변화하였다. 『대천일기』는 개인의 일기이지만 마을의 환경, 주민, 행사 등을 담은 60여년 동안의 마을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마을은 파평윤씨의 세거지이면서 오래된 자연마을로 문중, 친목계, 각종 모임이 활발한 곳이다. 따라서 일기 속에는 가족, 문중, 마을과 연계되어 있는 여성의 모습과 농산물을 생산·판매하는 여성의 일상이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일기 속에 등장하는 여성은 어머니, 부인, 딸, 며느리, 누이이며 친인척 관계의 고모, 처제, 숙모, 당숙모 등도 있다. 어머니, 부인의 일상은 윤희수가 마을과 문중에서 하는 사회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이를 매개로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었다. 1950~1960년대 농촌 여성은 경제적 기반인 농토를 일구는 농촌 노동력으로 역할을 하였고 1980년대 이후에는 여성 노동력의 세대교체 그리고 농촌 변화와 노동 유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일기 속에 많이 등장하는 여성의 모습은 풍속과 의례 등을 거행하는 것이었다. 풍속과 일생의례는 개인의 일상 속에서 행해지는 것이지만 이웃, 마을이나 문중 차원으로 공유되면서 여성의 관계망도 확대될 수 있었다. 또한 문중의 부녀회를 통해 문중의 일이나 회의, 모임 등을 준비하고 참여함으로써 관계들을 계승하였다.

    영어초록

    『Daecheon Diary』 is a dairy of Yun Hui-su who was born and raised in Daecheon Village, Hwamyeong-dong, Buk-gu, Busan, and it has been written since 1954. In 1950s, Daecheon Village was a living foundation for farmers cultivating fields and paddies around Daecheon River. However, after the village joined a large city due to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it came to have changing landscapes and residents. Although 『Daecheon Diary』 is a personal diary, it contains over 60 years of the history of Daecheon Village including its environments, residents, and events. In addition, Daecheon Village is not only a village of the Yuns of Papyeong but also an old natural village where various clans and meetings are actively made and held. Thus, women’s roles linked to their families, clans, and village as well as their everyday life producing and selling agricultural products are described in the diary. Women appearing in the diary include his mother, wife, daughter, daughter-in-law, his sister and father's sister, wife's younger sister, aunt, etc. Mother’s and wife’s everyday life were closely related to what Yun Hui-su did in the village and his clan, and in this way they could establish social relation networks. In addition, during 1950s~1960s, they played their roles as agricultural manpower cultivating farms, their living foundation. The diary shows a shift in generations, agricultural changes, and changes of labor types. The diary also often describes women performing their custom and rite. Although the custom and rite were mostly performed in personal daily life, they were also practiced by the village community and clans. As individual experiences were shared in the village and among clans, women’s relation networks could be cre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