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文獻을 통해 본 韓國人의 一生儀禮 (The Ceremonies of one's lifetime of Koreans in Pre-modern Tim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1.11
36P 미리보기
文獻을 통해 본 韓國人의 一生儀禮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37호 / 31 ~ 66페이지
    · 저자명 : 오종록

    초록

    이 글은 전근대 사회 동안 한국인의 일생의례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현재에 이르렀는가를 문헌 자료를 통해 어느 정도까지 확인할 수 있을지를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한국사학계에서는 근래에 의례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아직은 거의 국가나 사회 차원에서의 의례와 왕실 및 지배층의 일생의례에 대한 연구만이 이루어져 있다. 그 까닭은 주로 지배층이 작성 주체라는 점에서 비롯되는 문헌자료의 속성 때문이나, 민중의 일생의례에 대한 가치 있는 정보를 찾아내고 해석하려는 의식적 노력이 부족했다는 점도 인정해야 한다.
    우리의 전근대사가 전개되어 온 과정은 일생의례의 다양성이 줄어드는 과정이었으며, 이 과정은 근대사회에 들어와서도 지속되었다. 이미 고대사회 때부터 중국의 유교와 도교 문화 그리고 중국을 거쳐 수용된 불교 문화의 영향이 왕실과 중앙의 지배층으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그것이 지방의 지배층에게로 확산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이 대체로 고려 때에도 지속되었다. 그러나 민중의 경우는 그 일생의례 본연의 모습을 꽤 강고하게 유지하고 있었다.
    일생의례의 다양성은 고려 말엽에 성리학이 수용된 뒤 조선왕조가 성리학을 유일한 지배이념으로 규정함에 따라 전보다 빠른 속도로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배층 전반에서 일생의례를 주자학적 규정에 따라 준행하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특히 가족-친족관계, 재산 및 지위의 상속과 관계가 깊은 혼례와 제례는 17세기부터 비로소 비교적 빠른 속도로 변모해 갔다. 매우 더딘 속도로 변해온 민중의 일생의례도 17세기 이후 신분구조의 변동 양상과 짝하여 양반으로의 신분 상승을 꾀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주자학적 겉모습을 갖추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일어났다.
    한국 전근대사회의 일생의례를 연구할 때 우선 문헌 사료를 해석하는 관점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그리고 문헌 사료 외의 다른 사료의 이용 필요성이 매우 크다. 한국사학계에서도 문헌 사료 이외의 사료를 이용하는 경향이 생겨나 있고, 일생의례 연구에서도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있으나, 앞으로는 문헌 사료 이외의 사료를 더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what kinds of process did the ceremony of Koreans pass through until present time. The article is based on the literature sources. In the Korean historic academia, the study of rituals are getting brisk recently, but, if anything, the study of ceremony was restricted to royal family and hierarchy in national or social level. Because ruling class were usually the main agent of writing, nevertheless, we should admit that conscious efforts to find and interpret the precious information were lack.
    The process of pre-modern society had developed was the process that diversity of the ceremonies of one's lifetime has decreased, and this was maintained after entering the modern times. Since ancient times, the Confucianism and Taoism of China and the Buddhism that passed through China had already effected the hierarchy of royal family and Capital. This was spread to the ruling class of other region and this aspect had persisted until Goryeo(高麗). However, in case of the public, the natural form of ceremony of lifetime had still maintained quite firmly.
    The diversity of ceremony started to decline in the late Goryeo at an alarming rate, as the dynasty of Chosun(朝鮮) regulated the Neo-Confucianism as the controlling ideology. However it took so many times to follow in accordance with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 Specially, the relation between family and relative & the wedding an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which is) deeply-related to inheritance of fortune and status had changed considerably fast since the 17th century. Furthermore, the ceremonies of one's lifetime of the public that transformed slowly had strong movement to be equipped the doctrines of Chu-tzu appearance. This process went with the fluctuations in hierarchy.
    When we study the ceremony of one's lifetime of pre-modern society, it required the diversification of perspectives to interpret the literature sources. Thus, we should consider the other historical records except the literature. Also, the Korean historic academia has a tendency to use those other sources, and we could find such cases in the study of lifetime ceremony. From now on, we should make use of the historical records more enthusiast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