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산 逸文을 통해본 승려와의 교유와 강학 (The Friendly Relationship and Teaching of Da-San for Buddhist Monks Revealed in his Missing Writing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2.12
27P 미리보기
다산 逸文을 통해본 승려와의 교유와 강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50호 / 101 ~ 127페이지
    · 저자명 : 정민

    초록

    다산이 강진 유배 기간 중 승려들을 위해 써준 문집에 빠진 글의 목록을 제시하고, 이 가운데 서간문을 중심으로 다산과 승려들과의 교유 및 강학의 내용을 살핀 논문이다. 문집에는 승려와 관련된 글이 5편 뿐인데, 실제로 각종 기록에 실린 것을 확인하면 58편에 100수가 넘는 많은 글이 남아 있다. 이 글에서는 그 자세한 목록과 출전을 상세하게 제시했다. 이는 다산과 불승과의 교유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훨씬 범위가 넓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뜻한다. 따라서 이들 자료는 유배 기간 중 다산과 불교와의 관련 양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다산이 승려들에게 준 글은 교유와 교육의 두 갈래로 대별된다. 완호 윤우, 은봉 두운, 아암 혜장 등은 벗으로 교유를 나눈 상대다. 제자로는 수룡 색성, 기어 자굉, 철경 응언, 침교 법훈, 호의 시오, 초의 의순, 철선 혜즙, 풍계 현정 등의 존재가 확인된다. 다산은 이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가의 경전으로 이들을 강학하는 한편, 한시 창작에도 부지런히 힘쓸 것을 반복해서 강조했다.
    傳燈契란 이름으로 불린 다산과 승려들과의 사제 관계는 단순히 개별적인 학습에 머물지 않았다. 다산은 이들과 공동 작업으로 『대둔사지』와 『백련사지』와 같은 사찰 역사를 편찬했다. 이 저술 들은 이후 불교계에서 사찰 역사를 정리하는 모범적 선례로 자리 잡았다. 다산의 훈도를 통해 시문 창작과 경전 이해의 바탕을 다진 이들은 다산이 유배에서 풀려나 두릉으로 돌아간 이후, 경향의 문인들과 활발한 교류를 나누었다. 특히 초의의 경우는 서울 지역의 쟁쟁한 문인들의 신망을 한 몸에 입어 초의 신드롬으로 일컬어질만한 선풍을 일으키기도 했다.
    새로운 자료의 발굴 정리를 통해 다산과 불교계와의 관련이 훨씬 세밀하게 정리된 만큼, 이들 자료를 정리 번역하는 한편, 조선 후기 불교사에서 다산의 위상에 대한 재검토도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friendly relationship of Da-San with Buddhist monks and his teaching, finding out the missing lists of writings in his anthology written for Buddhist monks during his exile period, especially by the centre of letters. In his anthology we found only five books related with Buddhist monks, but actually there are more writings of fifty eight books and over hundreds of writings found in several records and data. This study reveals the details of lists and sources. It finds that Da-San had more wider and deeper regular relationship with Buddhist monks than they understood so far. So these data make deep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aspects between Da-San and Buddhism during his exile period.
    There are two aspects, friendly relationship and teaching, in Da-San’s writings for the monks. WanHo Yoon-Wu, EunBong Doo-Wun, AhAm Heo-Jang are monks of friendly relationship with Da-San. It found that Da-San had his students, like SuRyeong Saek-Seong, GeeUh Ja-Gueong, Ch’ulKyung Eung-Aen, Ch’imKyeo Bump-Hun, HoUee See-Oh, Ch’oUee Uee-Sun, Ch’ulSun Heo-Juip, PungKye Hyung-Jung. Da-San taught them by letters in term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encouraging repeatedly them to write Chinese poetry.
    The teacher and student relationship of Da-San, who called Jun-Deung- Kye, with Buddhist monks, was not just based on individual teaching. Da-San published, together with them, the history books of Buddhism temples, like “Dae-Dun-Sa-Jee” and “Baek-Ryon-Sa-Jee”. These books became exemplary history books in Buddhism history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e monks who learned Da-San’s teaching, poetry writing and scripture appreciation, had active relationship with the writers of capital city, when Da-San were released from the exile and returned to Doo-Ryeung. Especially, Ch’oUee Uee-Sun,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the famous writers of capital city, caused sensation, it called Ch’oUee syndrome.
    Through revealing new data and lists, the relationship of Da-San with Buddhism can be well and in detail arranged, so they shall be well organized and translated, and more the research of Da-San’s position in Buddhism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shall be actively and newly comple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