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타관의 발달사를 통해서 본 불교신앙 (The Faith of Buddhism Illumina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Views on Buddh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9.12
32P 미리보기
불타관의 발달사를 통해서 본 불교신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1권 / 149 ~ 180페이지
    · 저자명 : 노권용

    초록

    종교로서의 불교에 있어 신앙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佛”에관한 문제라 본다. 진리의 오득자인 석존의 위대한 인격에 대한 흠모와존숭으로부터 시작된 원시불교의 불타관은, 부파불교를 지나 대승불교에이르면서 심오하고 다양한 불타관으로 발전한다. 즉 미래불로서의 미륵불은 물론, 아촉불이나 아미타불과 같은 현재타방불 등 다불사상이 대두되고, 급기야 그들 시방삼세제불을 통일하는 구원석가불사상이 등장한다. 나아가 영원무한한 보편불로서의 시방편만불사상이 전개되고, 대승 중기에이르러서는 내재불사상이 강조된다. 더욱이 대승 후기에 이르러서는 우주법신 대일여래사상으로 발전된다. 한편 이러한 제불타의 본질과 현상에대한 철학적 논구로서의 불신론이 제기되어, 원시불교 내지 부파불교에서는 소박한 법․생이 거론되고, 대승 초기에는 용수에 의하여 진공․묘유의양면을 강조한 심화된 2 신불설이 전개된다. 그 뒤 보살사상과 전의사상등을 배경으로 하여 3신불설로 발전되는 바, 법신의 영원성과 색신의 구체성을 동시에 조화․융통시킬 수 있는 제3 신이 모색됨으로써, 자성신․ ․수용신․변화신, 또는 법신․보신․응신 등의 3 신불설이 확립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제유형의 불타관 내지 불신론의 분화 발전에는, 각각그에 상응하는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배경의 차이에서 유래된 것임은물론, 또 한편으로 그것은 인간의 종교적 심리 내지 진리인식의 다양성과그 단계성을 반영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고에서는이들 제불타관 내지 불신관에 드러나는 제반의 신앙적 의미요소들을 그특징에 따라 정리하여 보고, 나아가 그것들을 비판적으로 종합 지양하여봄으로써, 이상적 불교 신앙관 내지 종교 신앙의 방향 모색에 일조를 얻을수 있지 않을까 한다.

    영어초록

    Usually it is said that the innermost core of Buddhist faith is nothing but the issues about Buddha. The naive view on Buddha of the primitive Buddhism, based on the respect of Śākamuni as the realizer of truth, has been deepened and developed into various views through Abhidharma Buddhism and Mahāyāna Buddhism. In the history of Buddhism, we can find poly-Buddhas of Maitreya as a future Buddha, and Amita as a pure-land Buddha, and then we are able to meet Everlasting Śākamuni Buddha unifying all those poly-Buddhas. Furthermore, the thought of Omnipresent-Universal Buddha as an eternal and limitless universal Buddha was proposed, and the inner Buddha like as Tathāgathagarbha or Buddha-nature was emphasized in the middle age of Mahāyāna Buddhism.
    And then, in the last period of Mahāyāna, the thought of Mahāvairocana Buddha was developed.
    On the other hand, all the view points of Buddhas had been analysed by Buddh-kāya theories for the philosophical research about essence and phenomena of those Buddhas. In the period of primitive Buddhism, the simple two-bodies theory of Dharma-kāya and Nirmāṇa-kāya has been suggested. And in the early period of Mahāyāna, it is deepened by Nāgārjuna, who emphasized on the both sides of true voidness and marvellous existence. After all it has been developed to three-bodies theory which was based on the thought of Boddhisattva or the theory of 'transmutation of the support.' However it has been established by the idea of third body, Saṃbhoga-kāya, which is arle to harmonize the eternity of Dharma-kāya with the concreteness of Nirmāṇa-kāya.
    The development of all the view points on Buddha and Buddha-kāya mentioned above, of course, is originated from cultural, social and historical differences. And to some degree, it can be attributed to the diversity and stages of human being's religious psychology or recognition about Ultimate Reality. In this respect, this paper organized the various religious meanings that appeared in these views on Buddha,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n by unifying and sublating those various religious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critically, we would like to get an ideal direction for the faith of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