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택트 공간서비스 관점에서 본 거점오피스 공간프로그램 (Space Program of Base Office from the Perspective of Untact Spatial Servic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3.04
10P 미리보기
언택트 공간서비스 관점에서 본 거점오피스 공간프로그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3호 / 191 ~ 200페이지
    · 저자명 : 이민아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인의 일상 속 편의 및 신속에 대한 니즈가 확대되고 COVID-19 이후 비상상황에 대응한 거리두기 지침으로 인해 언택트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물리적 공간에서의 언택트 공간서비스가 다양한 유형으로 시도되고 있는데, 그중 거점오피스는 사용자 분산 및 공간 분리로써 언택트를 실현한 대표적인 공간이다. 본 연구는 언택트 공간서비스 관점에서 거점오피스의 공간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 쟁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는 일상과 비상의 상황에 유지될 수 있는 서비스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언택트 공간서비스와 거점오피스 관련 선행연구와 COVID-19 대처현황을 기반으로, 언택트 공간서비스 인자와 함께 스마트오피스와 코워킹오피스를 접목한 거점오피스 공간프로그램의 특성인자를 도출하고 사례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언택트 실현 거점오피스로 C1과 C2 사례를 선정하고, 분석툴을 적용하여 오피스 내 공간경험으로 접하는 물리적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1)물리적 증거에 반영된 거점오피스 공간프로그램 특성 분석과 (2)물리적 증거 중심의 언택트 공간서비스디자인 인자 평가로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거점오피스는 업무수행에 대한 필수요건인 편리성, 상호작용, 유연성이 집중 반영되어 리모트워크에 적합하였고, 1인 비대면 회의공간이나 회의부스 등 여러 공간유형을 제시하여 다양한 업무유형에 최적화되어 멜팅팟에 유리한 공간프로그램을 갖고 있었다. 둘째, 언택트 공간서비스 관점에서 거점오피스는 환경센서나 인식시스템을 통해 지속적인 심리적 안정감을 기반으로 하였고, 사용자의 분산을 실행하고자 밀집도에 따른 공간선택을 가능하게 하여 안전과 건강한 일상이 보장될 수 있는 공간서비스가 반영되어 있었다. 또한 일상과 비일상적인 모든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활용가능한 최적의 공간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오피스스페이스는 다양한 유형을 거쳐 오피스 프리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오피스뿐만 아니라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공간에서도 발견된다. 따라서 기능을 갖는 공간은, 정형화된 공간연출이 아니라 하이브리드 형식으로의 변모와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공간프로그램이 요구될 것이다. 언택트 공간서비스가 실현된 거점오피스 공간프로그램이 일상과 비일상에 공존할 수 있는 공간프로그램으로 안전을 기반으로 효율적인 공간활용과 다변화할 수 있는 공간운영 방안의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terest in untact design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modern people's needs for convenience and speed in daily life and the distancing guidelines in response to emergencies of COVID-19. Various types of untact spatial services are being attempted in physical spaces, and among them, base office(BO) is a representative space that realizes untact by distributing users and separating spaces. This study tried to find design issues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BO space program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ntact spatial service. The purpose of study is to establish a service environment that can be maintained in everyday and emergency situations. (Metho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untact spatial services and BO and the current status of coping with COVID-19, derive characteristic factors of BO space programs that combine smart offices and co-working offices along with untact spatial service factors and present case analysis tools with the factors. Cases C1 and C2 were selected as BO for untact realization, and analysis tools were applied to analyze them as physical centers that are in contact with spatial experiences within the office. The analysis included the following steps: (1) analysis on characteristic of BO space program reflected in physical evidence and (2) evaluation by design factors of untact spatial service centered on physical evidence. (Results) First, the BO was suitable for remote work by focusing on convenience, interaction, and flexibility, which are essential requirements for work performance, and by presenting various space types such as non-face-to-face meeting spaces for one person and conference booths, it was optimized for various types of work and had a space program that was advantageous to the melting pot.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untact space service, the BO was based on continuous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environmental sensors or recognition systems, and in order to disperse users, spatial services that can guarantee safety and healthy daily life by enabling space selection according to density were reflec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has an optimal space program that can be utilized by flexibly coping with all daily and non-daily situations. (Conclusions) Office space is evolving into office-free through various types, and this phenomenon is found not only in offices but also in various spaces that perform functions. Therefore, a space with functions will require a space program that can flexibly respond to various situations and transform into a hybrid form, rather than a standardized space presentation. It is expected that space program of BO, which realizes untact spatial service, will present a direction for efficient space utilization and diversification based on safety as a space program that can coexist in everyday life and non-dail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