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동차와 패션 산업의 콜라보레이션 경향 (Collaboration Trends in Fashion and the Automotive Indus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05
13P 미리보기
자동차와 패션 산업의 콜라보레이션 경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47호 / 65 ~ 77페이지
    · 저자명 : 조정미

    초록

    본 연구는 자동차가 상용화된 20세기 이후 패션과 자동차 업계와의 대표적인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조사하고,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의 시대별, 방법적 유형을 분석하여, 자동차와 패션의 콜라보레이션의 전략적 효과와 가치 역량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인터넷 자료조사를 통하여 자동차와 패션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시대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동차와 패션의 콜라보레이션은 전반적으로 자동차회사가 특정 패션디자이너브랜드를 선택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왔다. 따라서 패션에 자동차의 요소들을 부가하기보다는 자동차에 패션의 특성을 접목시키는 방향으로 시도 되어졌다. 콜라보레이션의 유형도 패션디자이너들의 고유의 아이텐티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외형적 디자인에 변형에 치중된 경향을 보였다. 보다 세부적으로 분류해보면 패션디자이너들과의 콜라보레이션은 조형적 측면에서는 익스테리어(exterior) 측면, 인테리어(interior) 측면, 자동차 액세사리 측면으로 분류 될 수 있고, 감성적 측면에서는 전시기획, 각종 이벤트, 광고 등의 문화 마케팅적 측면이 있다. 21세세기에 들어와서 더욱 활성화되는 콜라보레이션 유형은 감성적 측면의 콜라보레이션이다. 자동차회사와 패션브랜드들은 자선단체, 음악, 미술 분야의 예술가, 환경 운동가 등을 새로운 동업자로 영입하여 전시, 공연, 자선행사 등을 통한 감성커뮤니케이션을 활발히 시도하기 시작하였다. 다양한 업종간의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의 자동차와 패션산업의 보다 성공적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국제적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to examine major collaboration cases between fashion and automobile industries since after the 20th century when automobiles have been commercialized, analyze their various chronological and methodological types, and inquire into the strategic effects and value capabilities.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analyzing the collaborations between automobile and fashion industries by time and types via internet and literature.
    According to research, the collaboration between automobile and fashion progressed by the automobile company selecting a specific fahsion designer brand. As such, instead of supplementing automotive elements to fashion, the attributes of fashion have been fused into automotive. Collaboration patterns also displayed tendency of putting more weight on exterior design variations fitting to the unique visual identities of the fashion designers.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of collaborations with fashion designers revealed that, formative aspect can be classified into exterior, interior and automotive accessories, and emotional aspect includes exhibition planning, various events, advertising and other cultural marketing considerations. The aspect of collaboration type that is becoming more active in the 21st century is the emotional aspect of collaboration. Automobile companies and fashion designers are bringing in charity groups, musitians, artists, and environmental activists as partners for holding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charity events, and venturing active emotional communications.
    The research studied collaborations among different industries, and in the future, will assist in forming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as means to enter into a more successful global market for our automobile and fashion indus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