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젠더관점에서 본 보육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연구 (A Study on Paradigm Shift of Child Care Policy from the Gender Perspectiv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3.12
39P 미리보기
젠더관점에서 본 보육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젠더와 문화 / 6권 / 2호 / 85 ~ 123페이지
    · 저자명 : 이진숙, 이슬기

    초록

    보육정책은 시대별로, 정부별로 상이하게 다루어져 왔다. 우리나라 보육정책은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전통에서 특정한 방향성과 장기적인 계획 없이 만들어진 임시방편적 성격을 지닌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무상보육의 시행 이후부터 보육정책은 패러다임의 큰 변화를 경험하고있다. 정책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패러다임의 보편주의적 전환은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의 효과를 생각해 보면 이는 반드시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보육은 실질적으로는 여성의 사회진출이라는 점에서그리고 자녀양육을 위한 양질의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여성들과 직결되는문제인데, 정책전환의 과정을 살펴보면 그에 대한 젠더관점에서의 논의나사회적 합의, 혹은 장기적 계획 하에서 이것이 진행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고, 그로 인해 최근 정책의 변화가 여성의 사회진출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면 정책의 효과가 크다고 보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젠더관점을 고려하여 6.25 전쟁 이후부터 현재까지 변화되어 온 보육정책의 패러다임을 통시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할 필요성을 인지하고, 국가정책으로써 보육이 정착되기 이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나타난 보육이슈와 보육패러다임의 변화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시에는 젠더관점을 통해 보육에 대한 사회적 이슈의 변화와 국가적 보육정책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초점을두었다. 보육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보육정책은 저소득아동의 보호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일-가정 양립의 지지를 위한 패러다임으로 변화되었고, 최근에는 무상보육 패러다임으로 보편주의적 측면에서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 과정은 주로 정치적 동기에 의해주도되었기 때문에 향후에 젠더관점을 고려한 정책방향의 수정이 필요한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어초록

    Child care policy has been proceeded differently by periods andgovernments. Our child care services have been mostly stopgap measuresdue to patriarchal property of Korean society and male-dominatedcircumstance without any clear direction or a long term plan. However, afterproceeding a free child care service, a paradigm has undergone a big changein child care policy. Even though its trial was positive in the beginning,various problems came up later on causing confusions in our societycurrently since discussion on gender perspective, social agreement and longterm plan weren’t made in advance.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nowacknowledge that it’s time to relook a child care policy paradigm whichevolved since its beginning in a gender perspective and study how thispolicy has changed from time when child care service wasn’t established asnational policy to present time in a gender perspective. Further studying thechange of child care policy paradigm, we’ve found out it started as theprotection of low-income children and changed to the support of “Work andLife” coexistence and currently has become a free child care paradig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젠더와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