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미 금강사 금동약사여래입상> 복장 다라니 연구- 다라니의 도상화와 수구다라니에 실린 제종(諸種) 진언 - (A Study on the Dhāraṇī from the Gilt-Bronze Standing Bhaisajyaguru Buddha of Geumgang-sa Temple in Gumi:Various types of mantras contained in Dhāraṇī of the Precious Casket Seal Enshrined (寶篋印陁羅尼) and)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4.12
44P 미리보기
&lt;구미 금강사 금동약사여래입상&gt; 복장 다라니 연구- 다라니의 도상화와 수구다라니에 실린 제종(諸種) 진언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6호 / 207 ~ 250페이지
    · 저자명 : 문상련

    초록

    본 논문은 <구미 금강사 금동약사여래입상>에서 수습된 다라니 3종을 분석한 것으로, 먼저 1152년 간행된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다라니>의 간행처는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해진사(海真寺)가 아닌 해안사(海晏寺)일 가능성을 말하였다. 또한 이 다라니는 1150년에 간행된 『범서총지집』을 참고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편 <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 중앙에는 법신 비로자나불의 종자 아자가 쓰여 있는데, 이는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경』에 실린 40구(句)의 다라니 내용 중 이 다라니를 “일체 여래를 수호가지(守護加持)하는 태장계(胎藏界)”에 비유한 어구의 예에 따라, 비로자나불의 종자 아를 중심에 둔 채 보협다라니를 배치해 이를 태장계를 형상화한 도상으로 만들었음을 말하였다.
    그리고 <아자원상수구다라니>의 경우 기존 연구와는 달리 총 1,978자의 범자 가운데 앞 57자는 다라니 명칭을 표기했으며, 그 뒤에 1,921자의 범자 다라니가 쓰여 있음을 말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해백생원가다라니>라 칭해진 진언은 정념송진언(正念誦眞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진언은 진언 독송과 관련된 의궤에 해당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ree dhāraṇīs found in <Bronze Standing Bhaisajyaguru Buddha of Geumgang-sa Temple in Gumi>. The study first mentioned the possibility that <Dhāraṇī of the Precious Casket Seal Enshrined (寶篋印陁羅尼)> published by Hǎi yànsi (海晏寺) instead of Hǎi zhēn si (海真寺) in 1152 as it was known b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dhāraṇī was made based on the reference of ≪Beomseochongjijib (梵書摠持集)≫ published in 1150.
    There is the letter a() symbolizing Vairochana Buddha (毘盧遮那佛) at the center of <Dhāraṇī of the Precious Casket Seal Enshrined (寶篋印陁羅尼)>. According to the phrase that likened this dhāraṇī to “dhātū garbhe (胎藏界) to guard All Tathagatas” from the 40 phrases of dhāraṇī in ≪Dhāraṇī Sūtra of the Precious Casket Seal Enshrined (寶篋印陀羅尼經)≫, they placed <Dhāraṇī of the Precious Casket Seal Enshrined (寶篋印陁羅尼)> with the letter a() symbolizing Vairochana Buddha (毘盧遮那佛) at its center and made it into an icon embodying dhātū garbhe (胎藏界).
    In <Mahāpratisarā-dhāraṇī (隨求陀羅尼)>, the first 57 of its entire 1,978 Sanskrit characters mark the title dhāraṇī (陀羅尼), and they were followed by the dhāraṇī of 1,921 Sanskrit characters. The previous study reported that the mantra called <Unting The Karmic Knots Of Hundred lifetimes Dharani (解百生寃家陀羅尼)> was a Mindfulness Reciting - mantra (正念誦眞言) and an example of a ritual related to mantra reci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