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암일기를 통해 본 16세기 복식문화 (The Clothing Culture of the 16th Century as Seen Through The Mi-am Dia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4.11
27P 미리보기
『미암일기를 통해 본 16세기 복식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수록지 정보 : 한국복식 / 52호 / 29 ~ 55페이지
    · 저자명 : 이민주

    초록

    미암일기』는 1567년 10월 1일부터 1577년 5월 13일까지 9년 7개월간에 걸쳐 기록한 유희춘(柳希春, 1513~1577)의 일기이다. 일기는 한 개인이 매일매일의 경험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일상생활과 깊은 연관관계를 갖고 있어 특정 시대를 살다 간 한 개인의 생활사를 탐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써 가치가 크다. 유희춘을 중심으로 형성된 복식 유통의 양상을 통해 16세기의 복식문화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암일기속 복식 유통 양상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척도가 되는 것은 혈연을 비롯해 지연, 학연, 환연 등 연망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미암일기에 등장하는 복식 유통 양상은 매매, 하사, 대여, 수수 등의 유통 양상을 통해 복식문화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미암일기를 통해 16세기의 복식을 이해하고, 기존의 연구결과를 확장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척삼은 가을에서 겨울에 주로 착용하였으므로 여름용 적삼에 국한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방의는 바지와 착용한 것으로 보아 상의에 해당하는 옷임을 확인하였다. 또 미암일기에는 액주름이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액주름의 출토유무에 따라 16세기 전후를 구분하였던 기존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또 사모는 관복에만 착용하는 모자가 아니라는 사실은 물론 정을 갖춘 분투혜가 등장함으로써 단순히 덧신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직물을 비롯해 입모, 부채, 빗, 빗접, 낭자 등이 이루어낸 다양한 복식문화를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16세기의 복식문화를 이해하고 확장할 수 있는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Mi-am Diary is a journal written by Yu Hee-chun (1513–1577), spanning a period of 9 years and 7 months, from October 1, 1567, to May 13, 1577. As a diary that records a person's daily experiences, it is closely tied to the everyday life of its author, making it an invaluable resource for exploring the life history of an individual who lived in a particular era. Its significance lies in providing a deep insight into the lifestyle and personal history of that time.
    The Mi-am Diary also allows us to experience an individual’s daily life through various social networks such as familial ties, regional connections, academic relationships, and political affiliations. Through the circulation of clothing centered around Yu Hee-chun, it offers a new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clothing culture of the 16th century. The results of this explor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measure for understanding the circulation of clothing in The Mi-am Diary is the confirmation that social networks, including familial ties, regional connections, academic relationships, and political affiliations, played a significant role.
    Second, the circulation of clothing mentioned in The Mi-am Diary confirms that the clothing culture was formed through various distribution methods, including buying and selling, gifts, lending, and exchange.
    Third, the aim was to understand 16th-century clothing through The Mi-am Diary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expanding existing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cheoksam was primarily worn from autumn to winter, so it cannot be limited to summer use. Additionally, since the bangui was worn with pants, it was identified as an upper garment.
    Furthermore, the absence of aekjurum in The Mi-am Diary supports existing research that distinguishes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16th century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ekjurum in excavated garments.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o is not merely a hat worn with official attire, and the emergence of the formal buntuhye shows that it is not limited to being just an overshoe. In addition, various aspects of clothing culture were identified, including textiles, hats, fans, combs, comb cases, and nangja (pouches).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and expand upon the clothing culture of the 16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