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량 교육 비판의 관점으로 본 유네스코 교육 보고서의 역사교육적 함의 : 『함께 그려보는 우리의 미래』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the UNESCO Education Report for Histor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ism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 Focusing on “REIMAGINING OUR FUTURES TOGETHER”)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3.06
40P 미리보기
역량 교육 비판의 관점으로 본 유네스코 교육 보고서의 역사교육적 함의 : 『함께 그려보는 우리의 미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효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세계 / 63권 / 43 ~ 82페이지
    · 저자명 : 강화정

    초록

    이 글은 유네스코 교육 보고서 『함께 그려보는 우리의 미래』(이하 ‘유네스코 2050’)의 지식·학습 논의를 분석하고 역사교육의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량 교육의 비판적 논점인 신자유주의 교육, 지식 문제, 학습 담론을 분석의 틀로 삼아 ‘유네스코 2050’을 분석하였다. ‘유네스코 2050’은 일관되게 사회계약으로서 교육, 공동재로서의 교육을 강조했다. 또, 교육의 행위 주체인 교사와 학생이 하나의 지식 공동체를 형성하며 협력적으로 지식을 구축해가는 관계성을 강조하였다.
    역사교육에서 고민하고 실천해 왔던 문제가 ‘유네스코 2050’을 만나면서 강조점이 보다 뚜렷해졌다. 공공역사와 만나는 역사교육은 학생과 교사가 역사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에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역사교육의 새로운 의제도 부각 되었는데 생태환경의 시선, 불평등의 문제, 페미니즘과 토착민의 관점이 대표적이다. 이 같은 관점은 근대적 발전 서사를 넘어선 새로운 서사 형성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는 회복적 정의와도 관련된다. 역사교육에서 감정·정서도 새롭게 강조되는 의제이다. 신경과학의 발달에 따라 감정이 학습과 인지의 일부로 여겨지기 시작했고, 연민, 공감, 동정심과 같은 감정은 사회 유지를 위해 강조되기도 한다. 역사교육에서 진행된 감정 관련 연구를 정리하고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discussions on knowledge and learning in the UNESCO education report “REIMAGINING OUR FUTURES TOGETH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ESCO 2050") and identify implications for history education. The framework for analyzing 'UNESCO 2050' is based on neoliberalism and the discourse on knowledge and learning, which is a critical thesis of competency education and currently the main discourse in Korean education. UNESCO 2050 consistently emphasizes education as a social contract and a common good. It emphas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s actors in education who form a knowledge community and collaboratively construct knowledge.
    The issues that have been considered and implemented in existing history education are underscored by the international document 'UNESCO 2050'. History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public history, serves as a noteworthy example of how students and teachers can engag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historical knowledge.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need to address new agendas in history education, including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social issues of inequality, feminist perspectives, and indigenous cultures emerging through unlearning. This opens up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narratives that transcend the mainstream narratives of development, growth, and progress that shape the overarching narrative of history education. Moreover, it intersects with the concept of restorative justice.
    Lastly, the article delves into the topic of emotions in history education. Advancements in neuroscience have demonstrated that emotions are integral to cognitive processes, alongside consciousness. As emotions like compassion, empathy, and sympathy gain importance for social cohesion, there is a renewed urgency to study emotions in history education. The existing research on emotions in history education is summarized,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emphasis on this subject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세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