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작을 통해 본 道宣의 感通 이해 (Understanding of Daoxuan’s Gantong through his Work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3.12
30P 미리보기
저작을 통해 본 道宣의 感通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62권 / 4호 / 5 ~ 34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손진

    초록

    본고는 道宣의 『續高僧傳』 感通篇을 중심으로, 『集神州三寶感通録』 서문과 『律相感通傳』에 나타나는 감통에 대한 기술을 분석하고, 개별 사료의 경계를 넘어 통합적인 관점에서 도선의 감통관을 고찰하였다. 『속고승전』에서 도선은 ‘감통’이라는 편목을 두면서도 그 내용에는 ‘神異僧’을 이야기의 주체로 하는 傳記를 포함한다. 이는 감통하는 대상에 ‘神僧’을 추가한 것과 관련하며, 도선 자신이 ‘神僧’과의 해후를 중시하였던 것에서 비롯된 것이라 파악된다. 『집신주삼보감통록』의 경우 下卷의 瑞經錄 序에는 승려가 경전을 수지독송하고 그 설한 바대로 수행하면 通感하는 것이 있다고 한다. 또한 卷下의 神僧感通錄에서는 승려의 冥力에 의해 正法이 없어지지 않았던 것이라 하며, 神異ㆍ神通에 따른 교화와 그에 있어 승려들의 佛道修行를 중시하는 도선의 관점이 나타난다. 『율상감통전』에는 불가사의한 현상이 일어나는 요인에 대해 수행과 지계를 갖춘 승려의 공력이 포함된 내용이 나타나며, 이로써 승려는 항상 지계수행에 힘써야 한다는 점이 강조된 면이 돋보인다. 아울러 佛寺에 관한 이야기의 경우 이들 불사의 由緣을 가섭불 시대로 기술하는 부분들이 나타나는데, 이때 그가 天人의 입을 빌려 前劫의 가섭불을 거론하는 것은 불교의 三世 관념에 관한 중국적 이식과 ‘佛先道後’의 뜻을 견지하는 입장이 투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들 기술에서 ‘감통’이란 神通ㆍ神異의 相에 나타나는 것이자, 승려가 지계하고 감통하여 속인을 교화하는 일련의 흐름 속에 파악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때 人知를 초월한 불가사의한 현상에 관한 도선의 기술들은 찬술자의 입장에서 그가 이해한 ‘감통’에 관한 관점을 보여주며, 이는 동시에 당시 도선이 불교도로서 입장하는 바를 함의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section of Gantong in Daoxuan's Xù gāosēng zhuàn 續高僧傳, and analyzes the descriptions of Gantong found in the preface of Ji shenzhou sanbao gantong lu 集神州三寶感通錄 and Lüxiang Gantong Zhuan 律相感通傳. Going beyond individual sources, this study examines Daoxuan's concept of Gantong 感通 (lit. penetration into stimuli)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In Xù gāosēng zhuàn, Daoxuan includes a section titled 'Gantong' while the content also encompasses biographies centered around ‘shenyiseong 神異僧(extraordinary monks)' as the subjects of the narratives. This pertains to the addition of ‘extraordinary monks' as subjects of empathetic communication, indicating a priority placed by Daoxuan himself on interactions with ‘extraordinary monks'. In the case of Ji shenzhou sanbao gantong lu, the preface of the lower volume's Ruìjīng lù 瑞經錄 [Record of Auspicious Scriptures] states that if a monk diligently recites and practices the scriptures as instructed, they will attain a state of empathetic communication. Furthermore, in the Shénsēng Gǎntōng Lù 神僧感通錄 [Record of Miraculous Communication with Eminent Monks] in the lower volume, it is mentioned that the Dharma was not eradicated due to the spiritual power of the monks. This reflects Daoxuan's perspective emphasizing conversion based on shenyi 神異 (thaumaturgy) and shentong 神通 (supernormal powers), and the monks' dedication to Buddhist practice within that context. In Lüxiang Gantong Zhuan, the content includes the efforts of a monk equipped with diligent practice and moral precepts as factors contributing to extraordinary phenomena. This emphasizes the point that a monk must always exert effort in maintaining moral precepts. Furthermore, in narratives related to Buddhist temples, there are passages describing the origins of these miraculous events as extending back to the time of Kasyapa Buddha. When he speaks through the mouths of heavenly beings, mentioning Kasyapa Buddha from the previous Kalpa, this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the Chinese assimilation of the Buddhist concept of the Three Ages, embodying the meaning of 'Buddha precedes Dao. In these accounts, ‘Gantong' appears as an aspect of shentong and shenyi, and manifests in the interactions of the monk, who maintains moral precepts, empathetically communicates, and converts deceivers. This illustrates a discernible pattern within a series of events. Daoxuan's descriptions of extraordinary phenomena that surpass human comprehension in this context demonstrate his perspective on ‘Gantong' as understood from the standpoint of a practitioner deeply immersed in meditation practices. Simultaneously, this implies Daoxuan's position at that time as a devoted Buddhist practition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