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가(道家)철학의 관점에서 본 인격완성 (Character building from the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1.04
23P 미리보기
도가(道家)철학의 관점에서 본 인격완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격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인격교육 / 5권 / 1호 / 5 ~ 27페이지
    · 저자명 : 김철신

    초록

    도가철학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인격완성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을 위해 어떤 방법론이 요구되는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인간의 기원에 관한 도가의 발생론(존재론)적 견해를 담고 있는 원문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인간이 도(道)→덕(德)→형(形)의 과정을 거쳐 기원한다는 것과, 인간이 덕과 형과 심(心) 즉 내재된 도(道)와 육체와 마음이라는 세 요소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인격완성이 요구되는 부정의 계기들이 어떻게 빚어지는지를 육체 관련하여서는 간략하게, 마음과 관련하여서는 집중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이때 초점이 맞추어진 개념이 바로 특정한 삶과 환경의 맥락에서 형성된 주관적인 마음인 성심(成心)이다.
    마지막으로 도가철학에서 말하는 인격완성이란 곧 인간이 태어날 때 도(道)로부터 부여받은 원래 상태로의 복귀를 의미함을 논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역사적으로 전해오는 문헌이나 제도 또는 타인을 본보기 삼는 일반적인 학문방법론인 위학(爲學)의 길을 걸어가서는 되지 않고, 덜어냄의 길인 위도(爲道)의 길을 가야함에 논의하였다. 그래서 그 덜어냄의 방법인 심재(心齋), 전일(專一), 그리고 좌망(坐忘)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도가가 말하는 인격완성이란 역사적이고 경험적인 맥락에서 형성된 ‘나’의 상태를 탈피하여 도에 의해 존재하게 된 본래의 ‘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e current study explored what character building means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and what methodology is required for it. For this, we analyzed texts of Taoist containing their phyletic views on the origin of man. We not only confirmed that man is originated from the processes of morality→virtue→form, but also that man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called morality, form, and mind, namely, inherent morality, body and spirit.
    Further, we briefly examined how moments of denial required for building character are made in relation to our bodies, and intensively investigated it in relation to our minds. At this time, the focused concept is the very mind of integrity, subjective mind which has been built in the context of specific life and environments.
    Finally, we investigated that building character mentioned in Taoist philosophy means return to the original status which was given from morality when man was born. And for this, we discussed that one should not follow the way for studies which are one general learning methodology of making a model of other people, systems, or literature transmitted historically, and need to go on the way for morality which is a road of emptying. Therefore, we examined the methods of emptying, Xinzhai, Zhuanyi, and Juowang.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building character Taoist say means coming back to the original 'myself' endowed by morality getting out of the status of 'me' built in the historic and experiential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