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서사극 이론 (Epic Theatre Re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Cognitive Sci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3.04
38P 미리보기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서사극 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49호 / 133 ~ 170페이지
    · 저자명 : 김용수

    초록

    브레히트의 이론적 가설을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재검토한 본 연구는 몇 가지 잠정적 해석에 도달하였다. 우선 인지과학의 원리는 생소화 효과에서 감정이입이 이성적 이해에 선행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관객은 생소하게 만든 사건이나 인물을 모의(시뮬레이션)하여 그에 합당한 신체화된 감정을 느끼고, 이를 통해 인지적 이해에 도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사회적 몸짓에서도 발견되었다. 인지과학에 의하면, (사회적) 몸짓은 관객의 거울뉴런에 복제(시뮬레이션)되어 그에 합당한 신체화된 감정을 일으키고, 그 감정은 후속적인 이해를 유발한다. 관객은 움직이는 몸짓(동작)을 사회적 의미로 해독하기에 앞서 신체적으로 경험하고 느끼는 것이다. 제4의 벽을 허물어 배우와 등장인물의 이중성을 노출하려는 브레히트의 의도는 인지과학에 의해 달리 이해된다. 개념적 혼성의 이론에 따르면, 관객은 제4의 벽이 허물어져도 배우와 등장인물을 혼성하고, 그렇게 혼성된 이미지를 모의(시뮬레이션)하여 그에 합당한 상상적 경험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브레히트 연극은 환각을 파괴하려하지만, 부서지는 것 밑에는 또 다른 차원의 환각이 항상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브레히트가 원했던 비판적 사유 즉, 인간이 사회적/역사적 조건에 따라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실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공연 진행 중에 일어나기 힘들 수 있다. 그것은 마치 재생(play)을 멈춘 일시정지(pause)의 상태에서 지나간 대사와 행동을 사회적 맥락 속에서 숙고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브레히트가 의도한 사회적 의미는 타블로 같은 정지동작을 통해 효과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그것은 관객에게 숙고할 시간을 줄 뿐 아니라, 마치 사진을 보는 것 같은 기호학적 해독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아니면 그것은 작가의 비판적 판단을 표명한 대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럴 때 비판적 이해의 주체는 관객이 아닌 작가가 된다.
    위와 같은 인지과학의 대안적 설명은 브레히트 연극의 이론이 실제와 다른 점을 이론적으로 규명해준다. 어떻게 보면 브레히트의 이론은 하나의 이론적 가설에 지나지 않는다. 특히 그것은 플라톤적인 고대비평처럼 감정과 이성을 대립적으로 파악하면서, 감정이 이성적 판단을 방해한다는 가설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감정과 이성의 구분은 인지과학에 의해 간단히 부정된다. 왜냐하면 이성은 감정을 포함한 신체적 경험으로부터 독립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성적 이해는 신체화된 감정으로부터 출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인지과학은 브레히트가 근간으로 하고 있는 이성과 감정(신체적 경험)의 이분법을 부정한다. 본 연구가 살펴 본 인지과학의 이론적 가설은 이처럼 연극의 신체적 경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한다. 연극을 볼 때 관객은 의미 해독에 앞서 신체적으로 먼저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브레히트가 원했던 관객은 실제와 거리가 멀 수 있다. 그들은 비판적으로 의미를 해독하는 관객이기 전에 신체적으로 경험하고 반응하는 관객이었다. 그래서 시뮬레이션을 통한 신체화된 감정을 통해서도 브레히트의 의도가 실현될 가능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잠정적인 해석은 관객반응에 대한 사변적인 추측보다 경험적 연구에 보다 주목할 필요성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영어초록

    Reexamining Brecht's theoretical hypotheses in terms of cognitive science, this essay arrived at several temporary interpretations. Cognitive science implies that empathy can precede the rational understanding in Verfremdungseffekt. The spectator tends to simulate the unfamiliar incident and character and feels the consequential embodied emotion that leads to the cognitive understanding. The similar situation can be found in social gestus. According to cognitive science, gesture(social gestus) is simulated in the mirror-neuron of spectator, arousing consequently the embodied emotion that triggers the succeeding understanding. The spectator apts to experience and feel physically the moving gesture before decoding it as a social signification. Brecht's intention that attempts to reveal the duality of actor and character by eliminating the fourth wall is negated by cognitive science.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nceptual blending, the spectator under the eliminated fourth wall mixes actor and character, and simulates this blending image so that he experiences it imaginatively. As such, another kind of illusion can be formed when a fourth wall is collapsed. Meanwhile, the critical thinking of spectator Brecht wanted can be hard to occur during th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for the spectator to recollect the bygone dialogue and action in terms of social context as if he presses the pause, stopping the playback while watching a play in video. In this respect the social meaning Brecht intended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by the stop motion like tableau. It would not only give the time for the spectator to consider the implied social signification, but also make him possible to decode a semiotic meaning as if interpreting a still picture. Or it can be delivered by the dialogue that expresses the playwright's critical judgement. In this case, the subject of critical thinking is not the spectator but the author.
    The alternative explanation that the cognitive science suggests illuminates theoretically the reasons why Brecht's theory fails to be realized in practice. In a sense, Brecht's theory is nothing but a theoretical hypothesis. It takes the premise that the emotion hinders the rational thinking, understanding emotion and reason oppositively like Plato. This assumption is negated easily by the recent cognitive science that sees the reason as a by-product of physical experience including emotion. The rational understanding, in this sense, begins from the embodied emotion. As such the cognitive science denies the dichotomy of emotion and reason that Brecht adopted. The theoretical hypothesis of cognitive science makes us recognize again the importance of bodily experience in theatre. In theatre the spectator tends to experience physically before decoding the intellectual meaning. The spectator Brecht wanted, therefore, is far from the reality. The spectator usually experiences and reacts physically before decoding the meaning critically. Thus Brecht's int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embodied emotion resulted from simulation. This tentative interpretation suggests tha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mpirical study of spectatorship, not remaining in a speculative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