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적 관습의 약화 양상으로 본 [시] (Anti-Fiction Film Aspect of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1.09
27P 미리보기
영화적 관습의 약화 양상으로 본 [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46호 / 221 ~ 247페이지
    · 저자명 : 정우숙

    초록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는 일반 관객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지는 못했으나, 각종 영화제 수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시나리오의 완성도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은 데서 알 수 있듯이, 이 영화는 고전적인 극작술에 충실한 작품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일반적인 극영화의 관습으로부터 벗어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에 대해 함께 살펴야만 이 작품의 전모에 대한 이해가 가능해진다. 이는 극본상의 문제인 동시에, 실질적인 영화 표현상의 문제이기도 하다. 우선 허구의 외곽에 직접적으로 개입된 현실성이 주목된다. 시 이론의 전달을 위한 다큐멘터리적 기법 및 설명적인 분산 구조와 아울러, 연기자 캐스팅에 있어서 스타 시스템을 배제하고 극도의 리얼리티를 지향한 점이 그에 해당한다. 다음으로는 허구의 구축 과정에 개입된 경계 해체적 성향이 주목된다. 주인공 이외의 다양한 인물들에 있어서는 선과 악의 경계가 해체된 일상성이 두드러진다. 영화의 중심인 여주인공은 인식과 혼돈의 경계가 해체된 독자성과 모호성이 두드러진다. 이상의 특징들은 대중 관객을 허구에 몰입시키며 감정과 환상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키는 것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서, 작품의 내용을 사회적 현실과 관련시키며 불편한 진실을 인식하게 만든다. 여주인공 양미자와 희생자 소녀가 연결되는 마지막 시 낭송 시퀀스를 낭만적 정조의 차원 뿐 아니라 윤리적 실천의 차원에서 받아들이게 되는 것은, 영화 전체를 통해 유지되는 반(anti) 극영화적 양상들의 효력 때문인 것이다.

    영어초록

    The movie of Director Lee Chang-dong, [poetry] did not obtain a big response from the general spectator. But, it was recognized for its cinematic quality with various film festival winning. Especially, as appears by high appraisal about completion degree of scenario, this movie is the work which is faithful to the classical dramaturgy. But, simultaneously, it shows signs which escapes from the general customs of the dramatic fiction film and checking this together, we can understand about the whole aspect of this work. This is not only about the script, but also about the way of expression as a movie.
    First of all, the reality which directly intervenes to the outer zone of fiction is paid attention. It amounts to the documentary technique and the explicative breakup structure for the delivery of poetry theory. It also corresponds to the casting which excludes star system and aims for the extreme reality.
    Next, The boundary dissolving propensity which intervenes to the construction process of fiction is noteworthy. There are various people other than the hero who show daily life where the boundary between good and evil is dissolved. The heroine who is a center of this movie shows the individuality and the ambiguity where the boundary between recognition and chaos is dissolved.
    Features of above connect the contents of the work with a social actuality and come to recognition of the uncomfortable truth. It is entirely different as a method which makes the popular spectator immersed to a fiction and maximizes the sense of satisfaction of sentiment and fantasy. Due to the effect of the anti-dramatic fiction film aspect which is maintained throughout the movie whole, we can accept the last recitation where the heroine ‘Yang mija’ and the victim young girl are connected from not only dimension of romantic sentiment but dimension of ethical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