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尙書』를 통해 본 唐虞의 관료조직 (The Bureaucratic Organization of Dangwoo Described in 『Sangseo』)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8.10
48P 미리보기
『尙書』를 통해 본 唐虞의 관료조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51권 / 51호 / 135 ~ 182페이지
    · 저자명 : 유영옥

    초록

    堯舜三代는 통치이념으로 지극한 德治를 추구하여 유교사회의 전범이 되어왔을 뿐만 아니라, 그 이념이 투영된 典章文物 또한 국가 경영의 근간으로 면면히 기능해왔다. 『尙書』에 등장하는 문물제도로는 관료조직이 돋보이는데, 요순삼대 관료체제의 원형은 바로 당우의 9官이었다.
    唐虞의 관직은 5等 작위의 사방 제후들 외에 外職으로 9牧 내지 12牧 등이 있고, 內職으로는 四岳 및 百官을 통솔하는 百揆와 당우 관료조직의 중추인 9官 등이 있다. 帝舜은 司空인 禹에게 百揆를 겸하게 하면서, 司空, 后稷, 司徒, 士, 共工, 虞, 秩宗, 典樂, 納言의 9관을 차례로 임명하였다. 聖王이 정치하는 차례는 養民을 앞세운 뒤 敎民하고, 敎化가 禮樂에 앞서며, 禮樂이 刑보다 앞선다. 9관의 임명은 이 순서에 따라 가장 합리적으로 진행되었다.
    唐虞의 9官은 周나라 冢宰, 司徒, 宗伯, 司馬, 司寇, 司空의 6官으로 계승되면서 더욱 정비되어, 중국은 물론 고려와 조선에까지 면면히 이어졌다. 여기에서 요순삼대 관료체제의 연속성을 엿볼 수 있고, 아울러 그 유구한 전승의 역사가 당우의 9관에서부터 출발하였다는 점도 새삼 주목된다.
    대개 9관과 6관의 大體는 변하지 않았지만, 시대에 따른 異同이 없을 수는 없었다. 9관이 6관으로 조정됨으로써 담당업무에 異同이 생기고, 임명 순서 또한 약간 달라졌는데, 무엇보다 9관과 6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당우의 9관에 ‘司馬’가 不在한다는 점이다.
    『서집전』은 司馬 不在의 이유를 士가 兵ㆍ刑의 일을 겸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조선 경학가들은 주로 兼兵刑설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 하지만 임성주와 오횡묵은 帝舜이 有苗 정벌을 皐陶에게 명하지 않았음에 근거하여 兵刑 兼掌을 부정하였고, 심대윤은 순임금이 10관을 명했는데 司馬 관직이 脫簡되어 9관이 되었을 뿐이라고 단정하였다.
    당우시대 司馬의 不在를 확언할 수는 없다. 하지만 하필 ‘司馬’가 보이지 않는 데는 특별한 뜻이 내포되었을 법하다. 요순사회는 聖王의 明德으로 至治를 구현하면서, 전쟁이 형벌의 영역 안에서 운위될 뿐더러 그 刑조차 無刑이기를 희구하였다. 그러한 정치철학이 투영되어 『尙書』 속 당우의 관직에 司馬가 부재한다고 판단된다. 이에 司馬 없이 士가 兵刑을 兼掌했다는 『서집전』의 해석은 매우 타당하다고 할 만하다.

    영어초록

    The civilization systems of the Yaoshun and the Three Eras, in which the principle of rule by virtue were reflected, were long succeed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One remarkable thing of those systems that are described in 『Sangseo』 is bureaucratic organization. The 9 official positions of Dangwoo were the first beginning of bureaucratic organization in the Yaoshun and the Three Eras.
    Those positions were Sagong[combining Baekgyu as another position], Hujik, Sado, Sa, Gonggong, Woo, Jiljong, Jeonrak and Nabeon. In doing politics, the sage king begins with making his people free of starvation, which is followed by teaching them. Also, that king tries reforming before using punishment. The 9 official positions of Dangwoo were appointed in most reasonable ways like those in the politics of the sage king as implied above.
    The 9 official positions of Dangwoo were later refined into the 6 official positions of the Zhou period. The bureaucratic organizations of the two periods were overall similar, but a little bit different.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Sama’ is in the 6 official positions, but not in the 9 official positions.
    『Seojipjeon』 says that the unexistence of Sama is because Sa was in charge of both military and punishment affairs. This, or the claims regarding the combined treatment of military and punishment affairs were widely accepted by scholars in the Joseon period. During the era of Yaoshun, war was considered a part of punishment and hopes for ‘no punishment[punishment-free society]’ were prevalent. This was, presumedly, reflected as a political philosophy in 『Sangseo』 that in turn excluded Sama from the official positions of Dangwoo. Thus, it seems so reasonable for 『Seojipjeon』 to explain that there’s no need of Sama because the affairs of military and punishment were both taken responsibility for by 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