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교 문화의 관점에서 본 조선과 중국 (Joseon and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Confucian Culture of Ritual Norms(禮敎))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12
40P 미리보기
예교 문화의 관점에서 본 조선과 중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28호 / 303 ~ 342페이지
    · 저자명 : 박종천

    초록

    중국 역대왕조는 전통적으로 동이-고려-조선에 이르는 동국東國을 ‘예의지방’으로 부르면서 중화문명을 수용하여 동화된 문화적 동화의 모범으로 인정했으며, 동국도 이에 호응하여 중국을 문화적 중심과 정치적 정점으로 인정했다. 중국의 문화적 동화전략은 정치적 번방을 문화적으로 동화시켜서 문화적으로도 종속된 우호관계를 겨냥한 것이었다. 중국인들의 예교적 시선에서 보면, 『고려도경』에 잘 나타나듯이 고려시대까지는 중화문명의 동화와 오랑캐 풍속이 병존하다가, 조선에 와서는 문화적 동화가 전면화되어 소중화로 불릴 만큼 내면화되어 『조선부』 이후 중국 사신들의 칭송을 받았다.
    그러나 조선 전기 최부崔溥의 『표해록』를 계기로 조선 사람들은 예교의 대상이 아니라 예교의 주체로서 중국 문화가 비유교적 의례의 실천과 상업적 이익을 지나치게 추구하는 문제점 등을 비평적으로 성찰함으로써 문화적 차별화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조선 후기에는 다양한 연행록에서 잘 나타나듯이 중국이 정치적 정점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중국을 문화적으로 저변화함으로써 문화적 중심으로서 ‘예의조선’의 자부심을 고조시키는 한편, 청나라를 더 이상 문화적 야만으로 규정할 수 없다는 현실적 상황 변화로 인해 예교적 시선도 일정하게 균형을 취하여 현실주의적으로 객관화되는 흐름이 나타났다.

    영어초록

    Traditionally, Chinese dynasties called Dongguk(東國), which includes Dongi(東夷), Goryeo(高麗), and Joseon(朝鮮) dynasties, as a “region of ritual norms’, and recognized it as a model of cultural assimilation by embracing China’s civilization, and in response, Dongguk accepted China as a cultural center and a political climax. The cultural assimilation strategy of China aimed at establishing culturally-dependent friendly relations with a political periphery by assimilating the periphery with its culture. From the Chinese perspective of ritual norms, the assimilation of Chinese civilization and the barbarian custom coexisted by the Goryeo era, as shown well in <Goryeo Dogyeong (高麗圖經)>. However, the cultural assimilation developed in full-scale during the era of Joseon, and internalized to an extent that Joseon was called as ‘small China’, and praised by Chinese envoys since <Joseonbu (朝鮮賦)>.
    However, <Pyohaerok (漂海錄)> written by Choe Bu(崔溥) in the early Joseon era, which observed critically the realization of non-Confucian rituals and the excessive pursuit of commercial benefits in the Chinese culture and claimed that people of Joseon were not an object of but a subject to the realization of ritual norms, began to show a cultural differentiation. In the late Joseon era, as described in various travelogues to China, Joseon still recognized China as a political climax, but marginalized China in cultural terms resulting in enhanced pride as “ritualized Joseon” or a cultural center. Meanwhile, given the change in reality that Joseon could not define Qing as a cultural barbarism, its ritual perspective showed a trend of objectification by taking a balanced 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