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上堡村類型의 변천과 성격 (The Trans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Jimingcheng Culture Patter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7.08
40P 미리보기
上堡村類型의 변천과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16권 / 2호 / 27 ~ 66페이지
    · 저자명 : 이후석

    초록

    기존 견해들은 세형동검문화의 분화과정에서 요동지역의 문화요소들이 한반도의 서북지역으로 전이되는 점을 주목하지 못하였다. 여기서는 요동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서북지역까지 나타나는 ‘상보촌유형’의 세형동검문화에 주목하여 후기고조선의 물질문화를 다시 생각해 보았다.
    상보촌유형은 동대장자유형-정가와자유형과의 직간접적 상호작용을 통해 성립하였으며, 전국연계 물질문화를 수용하여 더욱 발전한다. 토광묘와 석축묘가 모두 확인되며, 석축묘의 경우 적석시설이 부가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청동유물에는 검ㆍ과ㆍ모 등의 청동무기와 다뉴조세문경이 확인되며, 엽맥문ㆍ사격자문 등의 문양들이 유행하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토착 토기류와 함께 점토대토기발과 평저장경호는 물론 두형토기가 널리 확인되는 점도 주목된다.
    상보촌유형은 전국 중기(요동 1기) 무렵 천산산맥 일대에서 성립하며, 전국 후기(요동 2기)에는 혼강유역과 한반도의 서북지역까지 확산된다. 이때에는 두 지역을 결속시켜 주는 관계망이 강화된다. 서한 초기(요동 3기) 이후 요동 동부지역은 혼강유역을 중심으로 관계망이 재편되고, 한반도의 서북지역은 한국식 세형동검문화가 요령식 세형동검문화를 대체하는 과정에서 급격하게 쇠퇴한다.
    그러므로 전국 후기 단계 후기고조선의 물질문화는 상보촌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고조선과 연의 경계라고 하는 ‘만번한’을 천산산맥 서변으로 보는 선학들의 연구 성과와도 부합된다. 한반도의 서북지역은 요령식 세형동검문화와 한국식 세형동검문화가 교차하는 점이지대이며, 고조선은 요하 방면에서 한반도의 서북방면으로 후퇴하였다는 점을 충분하게 고려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existing viewpoints, however,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cultural elements of the Liaodong region were transferred to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rocess of division of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The present study reconsidered the material culture of the latter part of Go-joseon focusing on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f ‘Jimingcheng Culture Pattern,’ which mostly appeared in the Eastern region of Liaodong as far as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 Jimingcheng Culture Pattern was established based on indigenous cultures such as Zhengjiawazi Culture Pattern and further developed by accepting the material culture of Yan system. Both pit tombs and stone tombs were found, and the stone tombs were characterized by the addition of stone mound installation. Among the excavated artifacts, a combination of weaponry such as bronze daggers, bronze halberds, and bronze socketed spearheads, and bronze mirrors with two or three knobs were found, and patterns such as leaf patterns and slanting checkered pattern were in fashion. In addition, earthenware is characterized by widely found bowls with clay stripes and mounted dishes.
    The Jimingcheng Culture Pattern was established in Tienshan Mountains in the middl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the 1st period of Liaodong) and proliferated into the Hun River basin and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ter part of the Warring States Period(the 2nd period of Liaodong). At that time, the relationship network connecting the two regions was strengthened. After the earlier Han(3rd period of Liaodong), the relationship network in the eastern part of Liaodong was reorganized with the Hun River basin in the center, and the Korea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gradually replaced the Liaoning Typ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material culture of the latter part of Go-joseon is judg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network of the Jimingcheng Culture Pattern. It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consider ‘Manfanhan’, which is believed to be the border between Go-joseon and Yan, to be the western border of the Tianshan Mountains. The fact that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was the transitional zone where the Liaoning Typ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and the Korea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were crossing should be fully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