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희가 본 육구연 심학과 선(禪) (Lu Jiu-yuan’s Xinxue and Zen Buddhism from the Zhu Xi’s Point of View)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2.06
37P 미리보기
주희가 본 육구연 심학과 선(禪)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88호 / 279 ~ 315페이지
    · 저자명 : 정상봉

    초록

    송대유학은 도가와 불교의 영향하에 유학이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난 것이다. 신유학은 윤리학 중심의 유학의 이론적 토대로서 형이상학과 심성론을 구축함으로써 도가나 불교와 이론적으로 맞설 수 있게 되었다. 주희의 경우 청소년기부터 청년기에 이르기까지 10여년 동안 불교, 특히 선불교에 심취했었다가 스승 이통의 지도를 받고서 유학으로 전회하였다.
    주희는 대혜 종고의 제자인 도겸선사(道謙禪師)를 만나 간화선(看話禪)을 접하고 “소소영영저선(昭昭靈靈底禪)”에 주목하였다. 이 때문에 청년 주희는 이통의 “묵좌징심(默坐澄心)”을 수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40세 중화신설을 제기할 때 경(敬) 공부의 중요성을 알고 이통의 가르침이 옳았음을 깨달았다. 1145년 여조겸의 주선으로 주희는 육구연을 만나 학문을 논하였는데, 육구연의 학문이 선불교로 경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그는 육구연이 격물치지(格物致知)에서 독서(讀書)를 통한 궁리(窮理)를 경시하고, 존덕성(尊德性)·도문학(道問學)에서 존덕성에 치중하고 당하변시(當下便是)를 말한 것을 들어 선불교와 너무 가깝다고 판단하고 후학들을 호도할 수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였다. 이것은 주희가 당대 대혜 종고로 대표되는 삼교일치 유불상통의 입장에 대한 반박이기도 하였다. 다시 말해 벽이단(闢異端)의 차원에서 육구연의 학문을 비판한 것이다.
    물론 육구연도 문장의 뜻을 깊이 음미하여 읽는 숙독(熟讀)을 말하기도 하였고, 주희도 말년에 존덕성에 기초한 도문학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주희와 육구연은 공맹유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성인이 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의 방법에 있어서는 매우 달랐는데, 주희가 보기에는 육구연의 직절적인 실천 방법이 유학의 본령에서 벗어나 선불교로 다가섰다고 보았던 것이다.

    영어초록

    Confucianism in Song dynasty was reborn as a new form of Confucianism under the influence of Taoist Buddhism. Neo-Confucianism was able to theoretically confront Taoism and Buddhism by establishing its metaphysics and the theory of mind and heart as the theoretical basis of Confucianism centered on ethics. In the case of Zu-xi, he had been fascinated with Buddhism, especially Zen Buddhism, for about 10 years from mid 10’s to mid 20’s.
    Zhu Xi met Zen master Daoqian (道謙禪師), a disciple of Dahui(大慧) Zonggao(宗杲), and learned about Kanhua Zen(看話禪). For this reason, he did not accept Lee Tong's “Sit silent and clear mind[默坐澄心]” as a young man. However, at the age of 40, he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e of Jing(敬) and realized that Yi Tong's teachings were correct when he raised the new theory of Zhonghwa(中和). In 1145, Lü Zu-qian arranged the meeting between Zhu Xi and Lu Jiu-yuan. Zhu Xi met with Lu Jiu-yuan and discussed studies, confirming that Lu Jiu-yuan’s studies were focused on Zen Buddhism. Afterwards, he found out that Lu Jiu-yuan neglected thinking and reflecting through reading books in the process of Gewuzhizhi(格物致知), and properitizing the Honoring the moral nature[Zhundexing尊德性] over the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Daowenxue道問學]. Furthermore Lu insisted “Just now it’s right.[當下便是]”. Lu’s viewpoints were judged too close to Zen Buddhism and strongly criticized for misleading later scholars. This was also Zhu Xi’s rebuttal to Dahui Zonggao's position on the unity of the three religions or the match between Confucianis and Buddhism, which was represented by the great supremacy of the time. In other words, he criticized the study of Lu Jiu-yuan from the level of the defeating heresy[闢異端].
    Lu Jiu-yuan also talked about reading carefully and deeply thinking the meaning of the sentences, and Zhu Xi in his later years also said that first of all we should do honor the moral nature. Zhu Xi and Lu Jiu-yuan inherited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from Confucius and Mencius, but they were very different in the specific ways of practicing them to become a sage. In Zhi Xi's view, the direct practical method of Lu Jiu-yuan moved away from the original spirit of Confucianism and approached Zen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