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본 <무정> (Moo Jung from the Structuralist Critic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8.08
20P 미리보기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본 &lt;무정&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중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24호 / 5 ~ 24페이지
    · 저자명 : 한승옥

    초록

    필자는 이광수의 <무정>을 츠베탕 토도로프의 ‘서사 문법’ 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무정>의 모든 행동은 ‘구하다, 찾다, 잃어버리다’로 압축된다. <무정>은 몰락과 영화의 신분 대칭 구조와 과거와 현재의 시간 대칭 구조로 짜여진 소설이다. <무정>에 등장하는 세 주요 인물의 서사 문법을 분석해 보면, ‘구하고 찾고 잃어버리는’ 문법에 해당하는 인물은 박영채 뿐이다. 이형식과 김선형은 ‘구하고 찾는’ 데서 끝난다. 잃어버리는 데까지는 나가지 않는다.
    또 하나의 주요 인물인 김병욱은 소설이 진행된 후 작가의 계몽 의지를 펼치기 위해 창조된 인물이며, 의도적으로 삽입된 인물이다. 김병욱은 <무정> 내에서 ‘구하고 찾고 잃어버리는’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지 않은 유일한 인물이다. 현실적인 인물이 아니다. 단지 작가 이광수가 개화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구하다’의 문법만을 적용시킨 이상형의 인물이다.
    <무정>의 서사를 이끌고 있는 인물은 박영채와 이형식이다. 김선형도 중요한 인물이지만 박영채만큼 핍진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 점에서는 이형식의 경우도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이형식의 경우는 어린 시절이 회상 형식으로 전개되며, 그것이 지니는 ‘구하고 찾고 잃어버리는’ 서사 문법이 중요한 의미소로 기능한다.
    이형식과 박영채만을 비교하면, 다른 인물들과의 밀접한 관계성에서나, ‘구하고 찾고 잃어버리는’ 서사문법에서나 박영채가 핵심 인물이다. 그러나 표면적으로는 남주인공 이형식이 이 소설을 이끌고 있다. 박영채는 이 소설에서 주제를 상징하는 이면 주제를 이끈다. 거기에 작가의 의도를 대변하는 ‘구하고’ ‘찾는’데 그치는 인물들이 표면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거나, 혹은 보조 문법으로 주 문법을 떠받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여기에 또 하나의 보조 문법이 있다. 그것은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는 서사 문법이다. ‘구하지만 찾지 못하’거나 ‘잃어버리는’ 문법인데, <무정>에 나오는 대부분의 인물들은 이 문법에 속한다. 박 진사를 비롯하여 그 아들들, 월화, 신우선, 김병국, 배명식, 김현수 등등이다. 이들은 실현되지 못하는 인생의 목표를 꿈꾸고 찾다가 구하지 못하거나 구했더라고 쉽게 잃어버리고 만다. 현실의 우
    리 모두의 모습들이다.
    다음으로 노드롭 프라이의 신화 원형을 통해 보았을 때, 이 작품은 이형식으로 대변되는 로망스의 양식인 여름의 신화가 표면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서는 박영채와 그 주변 인물들로 대변되는 아이러니 양식인 겨울의 신화가 강력하게 작품을 견인하고 있다. 여기에 김병욱으로 대변되는 로망스의 구조가 후반에 첨가된다. 전체적으로 <무정>은 표면과 이면이 상치되는 구조이면서, 로망스가 아이러니를 감싸고 있는 소설이다.

    영어초록

    I analyzed Lee Kwang-soo’s novel, Moo Jung, from the theory of ‘descriptive grammar’ by Tzvetan Todorov. All actions those show in Moo Jung can be summarized by three words which are ‘seeking, finding, and losing.’ The novel Moo Jung is consisted of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social status and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ime.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social status contains downfall and prosperity while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ime contains the past and the present. It is only Park Young-chae who comes under the grammar which ‘seeks, finds, and loses.’ Lee Hyung-sik and Kim Sun-hyung are only limited to ‘seeking and finding’ they do not go forward to ‘losing.’
    Another main character, Kim Byung-wook, is improvised and inserted in the novel on purpose for showing the writer’s intention: desire for enlightenment. Kim Byung-wook is the only character who does not contain the descriptive structure. He is not a realistic character. He is only an idealized character who is created by Lee Kwang-soo, the writer, for actualizing his dream for enlightenment.
    Park Young-chae and Lee Hyung-sik lead the description in Moo Jung. Kim Sun-hyung is also an important character; however he is not verisimilar as Park Young-chae. This fact is also found in Lee Hyung-sik. However, in Lee Hyung-sik’s case, early days are described in the form of reminiscence and its ‘seeking, finding, and losing’ narrative grammar plays an important role for expressing the essential meaning.
    Comparing Lee Hyung-sik and Park Young-chae, Park is the main character as in the intimate relations between other characters and as in the descriptive grammar which ‘seeks, finds, and loses.’ However, the hero Lee Hyung-sik leads the novel on the surface. Park leads the inside motif which symbols the theme of the novel. Then other characters those are limited to ‘seeking and finding’ and speak for the writer’s intention cover the surface; or support the main grammar as the supporting grammar. In addition, there is one more supporting grammar: descriptive grammar which reflects our everyday lives. It is the grammar which ‘cannot find even it seeks’ or ‘loses,’ and most characters in Moo Jung belong to this grammar. It includes Wal-hwa, Shin Woo-sun, Kim Byung-kuk, Bae Myung-sik, Kim Hyun-soo, and Park Jin-sa and his sons, etc. They dream about the goals of their lives that cannot be realized then they cannot find them or lose them easily even they found them. It reflects our real lives.
    Through the archetype of mythology of Northrop Frye, Moo Jung is formed of the surface structure which contains the summer myth, a genre of romance, which Lee Hyung-sik speaks for. However, in the other side, the winter myth, a genre of irony, which Park Young-chae and characters around her speak for strongly draws the novel. Then a genre of romance that Kim Byung-wook speaks for is added in the latter half of the novel. Overall, Moo Jung is formed of the confliction between the surface and the inside, and the romance is surrounded with the ir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후